
강원특별자치도와 일본 홋카이도가 유사한 지리적 환경 등을 바탕으로 협력해 재난·재해를 최소화하자는 의견이 제기됐다.
강원연구원이 18일 북해도립총합연구기구와 공동으로 연구원 리버티홀에서 개최한 한일컨퍼런스의 주제 발표자로 나선 김경남 연구위원은 “일본 홋카이도는 55% 이상이 국유림이고 올림픽 이후 산림 복원이 이뤄졌다는 점, 주민생활과 관련한 특례를 발굴한 경험이 있다는 점에서 참고해야 할 부분이 있다”고 강조했다. 김 연구위원은 “양국이 해안침식, 지진·해일, 산사태, 산불진화 등의 분야에서 연구 교류할 지점이 많다”고 설명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최병수 강원일보 전무이사는 “최근 일본의 지진으로 동해 묵호항의 경우 1m가 넘는 해일이 발생해 지자체에서 긴장을 했다. 그런데 정부에서는 주민들에게 외부 활동 자제를 당부하는 것 외에 대응 체계가 없었다”며 “재난이 발생했을 경우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해 연구원에서 체계적인 연구를 해달라”고 주문했다. 또 “산불 피해 복원 시 지역 특성에 맞는 복원 방법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원자치도에 산불 진화 장비가 턱없이 부족하다고 지적한 김길수 도의회 기획행정위원장은 “일본의 산불 진화 사례 등을 참고, AI를 활용해 산불 감시 기능을 강화하고 야간에도 진화할 수 있는 헬기 운영 등에 대해 고민해 달라”고 말했다.
이날 컨퍼런스는 강원연구원이 지난해 9월 북해도립총합연구기구를 방문, 상호교류협력의 정례화를 논의한 후 마련됐다. 연구원은 이날 워크숍을 갖고 연구교류 주제와 향후 일정 등을 논의했다. 컨퍼런스에는 현진권 강원연구원장, 코다카 소우 북해도립총합연구기구 이사장, 허장현 강원테크노파크 원장, 김충재 강원연구원 자원경제팀장, 윤인재 정책연구위원 등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