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바이오 특화단지 유치, 지역의 미래가 달렸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특별자치도가 올 상반기 지정을 앞둔 ‘바이오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유치에 성공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바이오산업은 기존 규제자유특구를 고도화하고 확대·개편하는 ‘글로벌혁신특구’의 최적 분야이며 강원 미래 전략의 핵심이다. 따라서 강원자치도의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특화단지를 반드시 유치해야 하지만 쉬운 상황은 아니다. 전국의 많은 지자체와 치열한 경쟁을 벌여야 하는 까닭이다. 강원특별자치도와 춘천시, 홍천군은 지난해 12월 범도민 유치지원협의체를 결성하고 일찌감치 도전장을 냈다. 경쟁 지자체는 수도권의 인천광역시와 경기 수원·고양·시흥, 대전광역시, 충북 오송, 전북 전주·익산·정읍, 전남 화순, 경북 안동·포항 등이다. 지자체마다 최적지임을 내세우고 있어 뚜껑이 열리기 전까진 결과를 알기 힘들다.

첨단전략산업 특별법 16조는 ‘특화단지 지정 시 수도권 외의 지역을 우선적으로 고려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도내 바이오산업체는 총 45곳으로 경기, 서울, 대전, 충북 다음이다. 수도권 제외 시 전국 3위권이다. 바이오 전문 인력은 3,211명으로 서울, 인천, 충북에 이어 전국 4위다. 바이오산업에 대한 연간 투자액의 경우 1,223억원으로 인천, 서울, 경기, 충북, 대전 다음으로 많다. 이에 강원 바이오산업의 규모와 경쟁력, 지역균형발전 측면의 인센티브 등을 고려하면 충분히 해볼 만하다는 전망도 나온다.

그러나 인천 송도, 충북 오송 등과 겨루기 위해선 특화단지의 핵심이 첨단산업 집적화를 통한 민간투자 확대라는 점에서 앵커기업(주도적 역할을 할 대기업)의 유치가 관건이다. 정부가 신청 대상을 ‘선도기업과 공급·협력기업, 연구소, 지원기관이 집적화된 산업 입지’로 규정해 기업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문제는 ‘동물세포 배양·정제 기술’ 항목의 1만ℓ 규모 이상 생산하는 지자체라는 평가 기준이다. 해당 규모 이상의 배지 생산 능력을 갖춘 곳은 인천 송도가 유일하다. 그래서 수도권을 겨냥하고 공모를 진행하는 게 아니냐는 의혹의 시선도 있다. 수도권에 기업이 집중돼 지방이 저평가받은 전례가 반복될지 모른다는 우려다. 도는 약 20년간 바이오 산업을 육성하며 쌓아 온 저력과 춘천·홍천만의 강점, 특화전략의 확장성을 강조하고 도민의 열망도 잘 알리며 평가에 대응해 나가겠다는 방침을 밝히고 있다. 이제 남은 시간이 많지 않다. 모든 역량을 기울여 도민들이 바라는 성과를 이뤄 내기를 기대한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