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지역에서 전기승용차를 구매할 경우 받을 수 있는 최대 보조금이 지난해 1,040만원에서 올해 978만원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국비지원이 축소된 영향으로, 지원금 감소에 따른 친환경차 정책의 동력 저하가 우려되고 있다.
4일 강원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올해 도내 전기차 보급 목표 대수는 6,585대로 지난해(7,247대)보다 9.1% 감소했다. 차종별로 승용차 3,477대, 화물차 2,283대, 승합차 95대, 이륜차 730대에 보조금을 지급한다. 수소차는 693대를 목표로 보급 사업을 진행한다. 이는 역대 최다 물량을 기록했던 지난해(1,116대)와 비교해 423대 줄어든 숫자다.
전기·수소차 모두 보급 대수가 줄어든 가운데 전기차는 보조금 규모 또한 축소된 것으로 확인됐다. 올해 도내에서 최대로 받을 수 있는 전기차 보조금은 승용차 기준 978만원으로, 전년(1,040만원)대비 62만원 낮아졌다. 수소차 보조금은 지난해와 동일한 3,450만원으로 확정됐다.
친환경차 보급사업이 시작된 이후 전기차 보조금이 1,000만원 밑으로 떨어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도내 전기차 보조금은 전국에서 보조금이 가장 많은 경남(거창군 기준 최대 1,790만원)과 비교해 812만원 차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조금이 줄어든 것은 정부의 국비 지원이 감소한 영향이 크다. 환경부에 따르면 올해 전기승용차 구매 국비 보조금은 지난해보다 30만원 줄어든 650만원으로 책정됐다. 보조금을 100% 받을 수 있는 기준 또한 5,500만원으로 전년 대비 200만원 낮아져 더욱 까다로워졌다.
문제는 보조금 사업 규모가 축소될수록 소비자 유인효과는 낮아질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실제 2020년 66.8%, 2021년 94.9%, 2022년 76.3%를 기록했던 도내 전기차 전년대비 증가율은 지난해 30.1%로 떨어졌다. 지난해 강원지역 전기차 보조금 소진율은 신청 접수 6개월째인 7월까지도 30% 수준에 그치기도 했다.
지자체 보조금 사업 관계자는 "전기차 신규구매 수요는 최근 4~5년간 보조금 사업으로 대부분 해소된 상황"이라며 "보조금이 줄어든데다 현재까지는 구매자들의 눈길을 끌만한 신제품도 없는 상황이라, 보조금이 전처럼 빠르게 소진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