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의사협회가 18일 전면 휴진과 총궐기대회 개최를 선언하면서 의·정 갈등이 또다시 '강대강' 대치 국면으로 치닫고 있다.
의협은 9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전국의사대표자회의를 열고 "범의료계 투쟁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모든 수단과 방법을 총동원해 총력 투쟁을 전개하겠다"고 밝혔다. 의협이 회원들을 대상으로 단체행동 찬반여부를 묻기 위해 실시한 투표(본보 지난 7일자 1면 보도)에는 총유권자 수 11만1,861명 중 7만800명이 참여해 역대 가장 높은 63.3%의 투표율을 보였다. 휴진을 포함한 단체행동에 참여하겠느냐는 질문에는 73.5%가 동의했다.
강원대 등이 소속돼 있는 전국의대교수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도 지난 7일 총회를 통해 의사협회의 집단행동 방침을 따르겠다고 밝혀 도내에서도 '의료 대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도내 대학병원과 동네병원이 투표 결과에 따라 대거 집단 휴진에 참여할 경우 환자들의 피해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강원지역에서 실제 집단휴진이 이뤄질 지는 미지수다. 찬성표를 던진 도내 개원의 사이에서도 '휴진은 부담스럽다'는 반응이다. 도내 한 개원의는 "예약한 환자들을 전국적인 휴진을 이유로 취소시키기 힘든 상황"이라며 "휴진은 사실상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도내 대학병원 역시 교수진들 사이에서 휴진 논의가 이어지고 있지만 각 병원 측은 "아직까지 휴진 계획은 없다"고 선을 긋고 있다.
교수 비상대책위원회가 오는 17일부터 집단 휴진을 예고한 서울대병원 역시 집단 휴진을 허용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밝히는 등 의료계에서는 교수들이 '집단 휴진'을 결의한다고 해도 실제 진료가 중단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보고 있다.
반면 일부에서는 2025학년도 의대 정원이 대폭 증가한데다 전공의들이 계속해서 피해를 감내하는 만큼 이번에는 실제로 진료를 접는 동네 의원이 많을 것이라는 예상도 나오고 있다.
정부는 '집단 휴진' 사태와 관련 이날 브리핑을 열고 유감을 표명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총파업과 전체 휴진이 현실화되지 않도록 마지막까지 의료계를 설득하면서 의료 공백 최소화에 모든 전력을 쏟겠다"며 “복귀하는 전공의에 대해서는 행정처분을 포함해 어떤 불이익도 없을 것이라고 다시 한번 분명하게 약속드린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