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7월1일 태백 장성광업소 폐광이 확정(본보 17·18일자 2면 보도)되며 태백, 삼척, 영월, 정선 폐광지역의 소멸 위기도 가속화되고 있다.
마침 제천~영월 고속도로 타당성 재조사 결과와 영월~삼척 고속도로의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 발표가 임박해 폐광지에 ‘단비’가 될 수 있을 지 초미의 관심을 모은다.
강원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이르면 오는 7~8월 제천~영월 고속도로의 타당성 재조사 결과와 9월 영월~삼척 고속도로의 예타 조사 결과가 연이어 발표될 전망이다.
제천~영월 고속도로는 2020년 총 사업비 1조979억원에 예타를 통과했지만 물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사업비고 5,600억원 증가해 지난해 말부터 재조사가 진행 중이다
이로인해 후속 구간인 영월~삼척 고속도로 예타 조사 결과 발표 일정이 당초 6월에서 다소 밀렸다. 다만 정부가 제천~영월 고속도로 재조사에 속도를 내고 있어 7~9월 중 결론이 나올 것이라는 게 도청과 정치권의 중론이다.
제천~영월 고속도로의 경우 2020년 통과 당시 종합평가 0.556으로 통과 기준(0.5)을 간신히 넘겼고 영월~삼척 구간은 사업비가 훨씬 많이 들고 경제성이 다소 떨어진다는 점에서 통과를 낙관하긴 어려운 상황이다.
공교롭게 폐광과 시기가 맞물리면서 만약 예타의 문턱을 넘지 못할 경우 상당한 지역 반발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 반대로 예타 통과 시에는 폐광지 대체산업 육성 및 체질 개선의 마중물이 될 것으로 보인다.
강원 폐광지와 접경지는 사실상 전국에서 마지막으로 남아있는 고속도로 사각지대나 다름없다. 석탄산업합리화 직전인 1988년 44만여명에 달했던 폐광지역 인구는 현재 17만1,000여명으로 60% 이상 급감했다.
강원자치도 관계자는 “지난 20여년간 폐광지에 4조원을 쏟아부었음에도 지역소멸의 위기가 오히려 가속화되고 있는 것은 기반 자체가 부족하기 때문”이라며 “고속도로를 비롯한 물류망 확충이 최우선”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