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강원지역 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 시급”

한국고용정보원 ‘지역산업과 고용’ 발간
강원지역 핵심노동인구 비중 40%아래 감소
중앙·지방정부·지역 간 유기적 협력 필요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 관련 델파이조사 자료=한국고용정보원 ‘지역산업과 고용’

수도권과 비수도권간 노동시장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강원지역의 효율적인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 지원사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한국고용정보원 발간 ‘지역산업과 고용’에 따르면 강원지역의 핵심노동인구 비중이 경북과 함께 40% 아래로 내려앉는 등 전국 하위권에 자리하고 있다. 강원지역은 2019년을 기점으로 핵심노동인구의 비중이 감소세로 돌아섰다. 핵심노동인구는 노동 공급이 가장 활발하고 생산성이 가장 높은 25~54세 연령대 인구를 뜻한다.

지역 내 평균 연령도 꾸준히 올라가고 있다. 행정안전부 행정동별 주민등록 인구통계에서 2023년 12월 기준 강원지역 평균연령은 47.6세인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높고, 전국 평균연령 44.8세 보다 2.8세 많다. 고령화가 가파르게 진행되면서 생산성이 떨어지고, 숙련 노동력 부족으로 인해 노동시장 경직성이 증대될 가능성이 커진 셈이다.

산업구조도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강원지역의 서비스업 비중은 1985년부터 꾸준하게 증가해 2021년 70%수준까지 올랐다. 그에 비해 제조업 기반은 취약해 고용의 질이 상대적으로 낮고, 일자리 창출에서도 한계를 보이고 있다.

한국고용정보원이 지역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델파이조사를 진행한 결과, 가장 많은 63.6%가 강원지역에 가장 필요한 사업은 ‘일반 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이라고 응답했다. ‘지역혁신 프로젝트’가 45.5%로 뒤를 이었다.

일자리사업이 성공적으로 시행되기 위한 개선 방안으로는 ‘사업 유형 다양화 및 재편성’, ‘중장기적 사업 실시’가 각각 27.3%의 응답률을 보이며 1순위로 꼽혔다.

한국고용정보원 관계자는 “강원지역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개별 지자체의 노력뿐만 아니라 중앙·지방정부의 협력, 지역 간 유기적인 연대 등 새로운 접근이 요구된다”고 설명했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