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춘천에서 인력사무소를 운영 중인 A씨는 하루 40여명의 인부들을 지역 내 건설 현장으로 보냈지만, 최근에는 일감이 줄어 현장 파견 인력이 10명 안팎에 그치고 있다. 인력사무소는 인력들의 파견 수수료를 매출로 잡기 때문에 매출 타격이 큰 상황이다. A씨는 “20년 간 인력사무소를 운영해 왔지만, 올해 처럼 일감이 뚝 끊긴 건 처음”이라면서 “최근에는 도배사나 목수 등 전문가들도 일거리가 없어 인력사무소 문을 두드리고 있다”고 말했다.
15년간 건설 근로자로 일했던 B씨는 일감을 구하지 못해 결국 동료와 함께 배달업계로 일자리를 옮겼다. 도내 건설 현장에서 일했던 C씨는 최근 일감이 끊기면서 강원지역을 떠나 수도권에서 일하고 있다. C씨는 “현장에서 최소 인원을 구해 어쩔 수 없이 일거리를 찾아 서울·경기권으로 눈을 돌릴 수 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건설·부동산 불황 장기화로 강원지역 현장 일용직 근로자들의 일거리가 줄면서 건설 근로자들이 직종을 바꾸거나, 일거리를 찾기 위해 타지역으로 떠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 달 도내 건설업 근로자는 7만8,500명으로 지난해보다 4,800명(-5.8%) 줄었다. 전국적으로 건설 근로자는 205만6,900명으로 1년 사이 6만5,700명(-3.1%) 감소했다.
상황이 이렇자 고용노동부와 기획재정부는 최근 ‘제17차 일자리전담반 회의’를 열고, 악화된 건설업 취업시장의 개선을 위해 근로자 고용 안정 등 정책적인 노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성희 고용노동부 차관은 “건설업과 도소매업 등 일부 업종에서 취업자 수 증가 폭이 감소하고 고용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며 “다양한 통계의 종합적인 분석과 현장점검을 통한 실증원인 파악 등에 기반해 필요한 지원 방안들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