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시바 시게루 새 일본 총리가 2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취임 후 처음으로 통화하고 미일 동맹과 한미일 협력을 강화할 뜻을 전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이시바 총리는 이날 오전 7시 반께 도쿄 총리 관저로 출근한 뒤 바이든 대통령과 통화했다고 보도했다. 전날 공식 취임한 이시바 총리가 외국 정상과 통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시바 총리는 한미 관계 등에 대해 "나라가 다르면 국익도 다르다"면서 "각각이 국익을 바탕으로 얼마나 진지하게 논의해 어떤 성과를 얻을까(가 중요하다)"고 언급해 향후 외교 기조가 주목된다.
이시바 총리는 통화 뒤 기자들을 만나 기시다 후미오 전 총리와 바이든 대통령 간 미일 동맹 강화 노선을 계승하겠다는 뜻을 전했다고 밝혔다.
또 한미일과 쿼드(Quad·미국·일본·호주·인도의 안보 협의체) 등 뜻을 같이하는 국가와 네트워크를 한층 더 강화하고 싶다는 의사도 전했다고 소개했다.
아울러 북한의 일본인 납치 문제 해결을 위해 미국이 협력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말했다.
이시바 총리는 다만 선거 기간 여러 차례 자신의 지론으로 밝혀 왔던 미일지위협졍 개정에 대해서는 통화에서 언급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현지 공영방송 NHK는 "취임 후 첫 외국 정상과 통화를 바이든 대통령과 한 것은 미일 동맹을 한층 공고하게 하겠다는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편, 이시바 총리는 지난 1일 밤 총리 관저에서 열린 취임 후 첫 기자회견에서 주일 미군의 법적 특권을 인정한 미일지위협정을 개정할 의향을 재차 표명했다. 또 미국의 일본 방위 의무 등을 규정한 미일안보조약 개정을 통해 양국 관계를 대등하게 만들겠다는 뜻도 밝혔다.
이는 모두 미국이 응할 가능성이 낮은 사안으로 미국 내에서 이시바 총리를 불안하게 보는 의견이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전했다.
이시바 총리는 내달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자가 결정되면 내년 1월 대통령에 취임하기 전 미일 정상회담을 실현할 의욕도 보여 왔다.
이시바 총리는 '기시다 정권이 정상외교를 통해 미국, 한국 등 양국 관계를 강화해 왔는데 어떻게 정상외교를 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미국과 양국 관계는 중요하고 한국과도 그러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상외교를 할 때는 회담이 무엇을 위한 것인지 명확하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며 "신뢰 관계를 높여서 우호를 심화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을 위해 회담을 하는지 사전에 설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나라가 다르면 국익도 다르다"면서 "각각이 국익을 바탕으로 얼마나 진지하게 논의해 어떤 성과를 얻을까(가 중요하다)"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시바 총리는 방위상 시절을 회고하면서도 분명한 목적이 있는 회담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시바 총리는 한일역사 문제에서 비교적 온건한 목소리를 내온 '비둘기파'로 알려졌지만, 향후 정상 외교에서는 개인적 소신보다는 '국익'에 초점을 맞출 것임을 예고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시바 총리는 지론인 미일지위협정 개정에 대해 미국 내에서 경계감이 나오고 있다는 질문에는 "미일 동맹에 우려가 생긴다고는 전혀 생각하지 않는다"며 "동맹 강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필요할 경우에는 집권 자민당에 관련 논의를 요청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짧은 시일에 바뀐다고는 생각하지 않지만, 그렇다고 해서 포기하는 것이 좋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며 협정 개정을 지속해서 추진하겠다는 의사를 나타냈다.
내달 미국 대선과 관련해서는 "예단은 절대 용납되지 않는다"며 "어느 쪽과도 대화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들어두지 않으면 안 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