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천

“홍천 바이오 산업의 씨앗은 R&D … 더 강화해야”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홍천학 심포지엄서 바이오 산업 육성 역사 발표
첨단산업 불모지 도전의 역사 발전 방안 논의

제8회 한서대상 시상식 및 '2024 홍천학 심포지엄-홍천 바이오산업의 역사를 찾아서'이 12일 홍천문화예술회관에서 박진오 강원일보사장, 신영재 홍천군수, 박영록 홍천군의장, 박주선 홍천문화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홍천=박승선기자

【홍천】 홍천의 바이오 산업 육성은 ‘연구개발(R&D) 기반 구축’에서 출발했고, 홍천국가항체클러스터의 성공도 R&D 기반 확장에 달렸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정연호 스크립스코리아항체연구원장은 12일 홍천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린 ‘2024 홍천학 심포지엄-홍천 바이오 산업의 역사를 찾아서’에서 이같이 주제 발표를 했다. 정 원장은 2008년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설립 당시 초대 소장을 역임했다.

그는 “홍천의 청정 자연에서 자생하는 산양산삼 등 식물 자원에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자는 뚜렷한 목표를 갖고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가 설립됐다”며 “대학이 없는 지식산업 불모지에 연구개발 기관을 설립하며 바이오 산업 육성에 도전했다”고 말했다. 이어 “초창기 역사는 지금도 유효하다”며 “홍천국가항체클러스터도 스크립스코리아 등 연구개발 기관과 R&D 기반의 우수한 기업을 끌어 모으며 성장하는 전략을 써야 한다”고 제언했다.

조계춘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장은 “홍천군은 2007년 정부의 지자체연구소 육성사업에 선정되며 거점 연구기관을 설립했다”며 “중앙정부의 전략적 투자를 받아 바이오 산업 불모지에서 중심도시로 거듭났고, 100년을 준비하는 혜안을 갖고 혁신적 발전 전략을 구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성선 강원대 철학과 교수가 좌장을 맡은 토론에서는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예상규 서울대 시스템면역의학연구소장은 “홍천은 다양한 천연물 자원을 확보한 지역으로 이를 활용한 면역 조절 물질 개발의 가능성이 매우 크다”며 “홍천 바이오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지역 인재 양성, 기초 연구 역량 강화에 적극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황 삼 강원특별자치도 바이오기반조성 TF팀장은 “홍천은 인공지능 기반 신약후보물질 발굴 분야의 거점 역할을 하며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고, 장용기 홍천군 미래성장추진단장은 “기업 입주 공간 및 정주 환경 마련, 기업 경쟁력 강화 지원으로 수도권 바이오 허브시티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윤완태 강원테크노파크 미래사업단장은 “공간, 시설, 장비, 기술, 인력 등을 통합 지원하며 첨단 바이오 기업을 유치 및 육성하고, 홍천국가항체클러스터를 키워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