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대와 춘천교대가 학령인구 감소와 지방대학 위기라는 공통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합 논의를 본격화했다. 이는 단순히 대학 간의 합병 차원을 넘어 지역사회와 대학이 동반 성장할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할 기회다. 하지만 통합이라는 거대한 과제 앞에서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교육·행정·지역사회적 측면에서 세심한 준비가 필요하다. 입학 자원이 줄어들면서 대학의 존립이 흔들리고, 이는 곧 지역인재의 유출과 지역 경제의 위축으로 이어진다. 특히 강원특별자치도는 고령화와 인구 감소가 동시에 진행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 대학과 지역사회 간 상호 의존의 중요성이 더욱 크다.
춘천교대는 국립 교육대학이라는 특수성을 띠고 있지만 전국적으로 교대 졸업생의 임용 경쟁률이 하락하며 경쟁력을 제고할 필요성을 절감해 왔다. 강원대 역시 강릉원주대와의 통합을 통해 거점 국립대로서의 위상을 높이고 있지만 지역사회와의 연계성을 증진하는 데 있어 추가적인 혁신이 요구된다.
강원대와 춘천교대의 통합은 두 대학의 물리적 결합이 아니라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목표로 해야 한다. 강원대는 강릉원주대와의 통합을 통해 종합대학으로서의 규모를 확대하며 ‘글로컬30대학’ 사업에 선정되는 성과를 거뒀다. 춘천교대와의 통합은 이러한 기반 위에 유치원부터 초·중·고 교육에 이르는 교원 양성 체계를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는 지역인재를 양성하고 지역 내 교육 수준을 올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교원 양성 과정이 지역사회의 요구에 맞춰 개선된다면, 강원특별자치도 전반의 교육 경쟁력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러한 통합은 교육·연구 분야의 협업뿐 아니라 지역의 사회·경제적 성장까지 견인하게 된다. 통합 논의가 시작된 만큼 이제는 구체적인 계획과 실행력이 중요하다. 무엇보다 두 대학 구성원들의 충분한 공감대 형성이 필수적이다. 춘천교대는 이미 설문조사를 통해 구성원의 과반 찬성을 얻었지만 통합의 구체적인 방향과 과정에 대한 세부 협의는 앞으로의 핵심 과제로 남아 있다. 강원대·강릉원주대 통합 과정에서 보여줬던 성과와 한계를 분석해 춘천교대와의 통합에서도 실질적인 개선 방안을 도출해야 한다. 특히 교육부의 승인 절차와 통합 이후의 재정 지원 계획, 학사 운영 체계의 통합 등 실질적인 준비가 동반돼야 시너지를 낼 수 있다.
이번 통합 논의는 단순히 두 대학 간의 문제가 아니다. 지역사회가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강원특별자치도는 이미 여러 지방자치단체에서 인구 감소와 청년 유출을 막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이는 지역 대학과의 협력이 뒷받침될 때 비로소 실효성을 가질 수 있다. 대학이 지역사회와 손잡고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역 내 일자리 창출과 연계된 연구를 활성화한다면 통합의 가치는 더욱 빛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