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전국 40개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포함) 의대생들의 집단휴학을 승인할 수 없다는 방침을 재확인하면서 강원도내 대학들도 의대생들이 미복귀할 경우 학칙 처리 등 강경 대응을 예고했다.
18일 교육부는 각 대학에 보낸 공문에서 "집단행동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대규모 휴학은 정당한 사유가 될 수 없다"며 "대학은 의대생 집단휴학 및 복학으로 인한 학사 운영의 책임이 있는 만큼, 교육여건을 고려해 휴학 승인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형식적으로는 개인 사유를 이유로 한 휴학 신청이라도 실질적으로 집단적인 대규모 휴학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승인하지 않도록 조치하라"고 지시했다.
교육부가 집단휴학 불가 방침을 밝힌 가운데 강원대 의과대학은 오는 28일까지 복학 신청을 마감하고, 기한 내 복학하지 않는 학생들에 대해서는 학칙에 따라 처리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지난해와 달리 강경한 태도를 보이며 교육부의 방침을 준수한다는 입장이다. 18일 현재 지난해 휴학했던 다수의 학생들이 휴학 연장을 신청했으나 강원대 의대는 이를 보류하고 집단휴학을 승인하지 않을 계획이다.
연세대 원주캠퍼스 의과대학도 오는 21일까지 복학 신청을 받고 미복귀 학생에 대한 학칙 적용 여부를 추후 논의하기로 했다. 하지만 의대생들의 복귀 움직임은 감지되지 않고 있다. 한 대학 관계자는 "복귀를 원하는 학생들도 있지만, 눈치를 보느라 신청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대학이 공식적으로 복귀를 유도하고 있지만, 학생들 간 의견 차이가 있어 혼란이 이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 7일 의대생이 이달 내 복귀할 경우 2026학년도 의대 모집정원을 기존 3,058명으로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복귀하지 않을 경우에는 학사경고, 유급, 제적 등 학칙에 따른 조치를 취하겠다고 경고했다.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등 주요 대학들은 이번 주말 또는 내주 초를 복귀 시한으로 설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