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4일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결정으로 강원지역 소비·투자·부동산시장이 되살아날 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의 중대 요소가 사라졌기 때문이다.
경제계에서는 탄핵을 통한 불확실성이 해소돼 위축됐던 소비·투자심리가 소폭 개선될 것이라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
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 통계자료를 살펴보면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안이 가결된 2016년 12월 강원지역 소비심리지수(CSI)는 98.8 이었지만 2017년 2월(101.7)부터 100선을 다시 넘겼다. 제19대 대통령 선거가 진행된 같은해 5월에는 111을 웃돌며 완전한 회복세를 보였다.
3월 도내 소비심리지수는 96.8로 계엄 선포에 이어 탄핵 정국으로 이어진 지난해 12월 이후 4개월 연속 100을 밑돌고 있다. 하지만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가 임박한 것으로 전해지며 2월 보다는 2.3포인트 오르는 등 개선 가능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심리도 조금씩 되살아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 1분기 도내 외국인직접투자 신고액은 5,800만달러로 전년대비 593.4%나 급등했다. 지난해 같은기간의 외국인직접투자는 2023년 1분기 보다 85.5% 급감하는 등 고전을 면치 못했다.
부동산시장의 경우 올해 도내 분양 예정물량은 508가구에 머무는 등 역대급 한파가 예고된 바 있다. 여기에 도내 아파트 매매가격이 2주 연속으로 하락하고, 강원지역을 포함한 전국 아파트 분양 실적률(올 3월 기준)이 21%에 그치는 등 침체가 이어졌다. 하지만 원주역 중흥S클래스 청약경쟁률이 8대1을 넘기고, 이번주 ‘강릉 영무예다음 어반포레’(148가구)가 청약신청을 접수하는 등 연기됐던 분양 물량들이 속속 시장에 나오면서 회복 기대감이 커진 상태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부동산에 미칠 단기적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하며 부동산 시장은 당분간 관망세가 지속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아직 확정된 것이 없기 때문에 건설경기 및 부동산시장에 미치는 단기적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본다”며 “다만 집권여당의 유지·변경 여부에 따라 정책방향이 바뀔 여지는 크기 때문에 신중하게 지켜봐야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