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26일과 27일, 강원도 인제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은 73㏊의 소중한 산림을 잿더미로 만들었다. 다행히 춘천, 홍천, 인제 등 인근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임차 헬기가 발화 20분 만에 신속히 현장에 도착해 진화 작업에 나섰고, 뒤이어 화천과 고성권역의 임차 헬기까지 동원돼 초기 진화에 총력을 기울였다. 강원 지역 7대의 임차 헬기 중 강릉을 제외한 6대가 인제 산불 진화에 투입된 것은 그만큼 초기 대응에 임차 헬기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다. 하지만 가장 먼저 현장에 도착해 사투를 벌인 임차 헬기의 노력에도, 당시 워낙 강한 바람 때문에 대형 산불의 확산을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더 안타까운 사실은 현재 지자체가 운영하는 임차 헬기는 국비 지원이 전혀 없는 열악한 상황이라는 점이다. 국가적인 재난 상황에 초기 대응의 핵심 역할을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운영비 전액을 지자체가 부담하고 있어 진화 역량을 키우는 데 근본적인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강원자치도는 기존 8대였던 임차 헬기가 국가동원령에 의한 사고로 7대로 줄어들면서 하반기 1대분 임차 헬기 운영비의 40%에 해당하는 1억6,000만원의 증액을 정부 추경에 요청했다. 그러나 이마저도 반영 여부가 불투명하다. 만약 국비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현재보다 월등한 진화 역량을 갖춘 임차 헬기를 투입해 산불 발생 초기 단계에서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다는 것이 지자체의 간절한 입장이다. 현재 운용 중인 1,200ℓ 용량의 임차 헬기는 담수량이 다소 부족해 대형 산불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어렵다. 한 번에 3,000ℓ 이상 담수할 수 있는 대형 헬기는 임차 비용이 비싸지만 국비가 지원된다면 충분히 도입을 검토할 수 있다.
이는 곧 초기 진화 성공률을 높이고, 막대한 경제적 손실과 환경 파괴를 야기하는 대형 산불로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산불은 단순히 특정 지역의 문제가 아닌 전국적인 차원에서 대비하고 대처해야 할 국가적인 재난이다. 특히 강원도와 같이 산림 면적이 넓고 건조한 지역에서는 산불 발생 위험이 항상 존재하며, 그 피해 규모 또한 막대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초기 진화의 가장 중대한 역할을 담당하는 임차 헬기에 대한 국비 지원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급한 과제다. 국가적인 재난 대응 시스템 안에서 초기 진화 역량 강화를 위한 투자는 중앙 정부의 책임 있는 자세와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이뤄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