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김문수·한덕수 측, 단일화 협상 40여분만에 결렬... '역선택 방지 조항' 이견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와 무소속 한덕수 대선 예비후보가 지난 8일 서울 국회 사랑재에 위치한 커피숍에서 만나 회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와 한덕수 예비후보 측은 10일 단일화 협상을 재개했으나, '역선택 방지' 등 여론조사 방식에 대한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이날 오후 7시부터 시작된 협상은 약 40분 만에 중단됐다.

김 후보 측은 당 중진들이 제시한 중재안을 바탕으로 '역선택 방지 조항'을 절반만 반영한 '100% 일반국민 여론조사' 방식을 제안했다.

하지만 한 후보 측은 K-보팅 시스템을 활용한 전 당원 투표 방안을 역제안하며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

김 후보 측 김재원 비서실장은 기자들과 만나 "나경원·박대출 의원 등 중진들의 요청에 따라 50%는 역선택 방지 조항이 없는 여론조사, 나머지 50%는 역선택 방지 조사를 실시하는 방안을 제시했다"며 "하지만 한 후보 측은 '역선택 방지 문항이 포함된 조사에서는 1%도 받지 않겠다'고 하며, 전 당원 투표를 통해 결정을 내자고 했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현재 한 후보를 국민의힘 후보로 교체하기 위한 찬반 ARS 투표가 진행 중인데, 이에 대한 공정성에 의문을 제기했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한 후보 측 윤기찬 정책대변인은 "무소속 후보일 때와 달리, 가장 공정한 방법은 전 당원의 의사를 확인하는 것"이라며 "김 후보 측에서 한 후보의 늦은 입당을 문제삼은 만큼, 정치적 상황을 고려하면 전 당원 투표를 거부할 이유가 없다"고 반박했다.

또한 김 후보 측의 '50% 역선택 방지 여론조사' 제안에 대해 "본투표에서 민주당을 찍거나 역선택을 하려는 의도가 반영되지 않아야 한다"며 "50% 방지와 100% 방지의 차이는 본질적으로 없다고 봤다"고 주장했다.

대선 후보 등록 마감일을 하루 앞두고 양측은 협상이 결렬된 상황에서, 당과 한 후보 측은 11일까지 협상의 문을 열어두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당 지도부는 이미 후보 교체 절차에 착수했으며, 이날 오후 9시 마감하는 전 당원 투표와 11일 전국위원회 의결을 거쳐 한 후보로의 교체가 완료될 예정이다.

두 후보 간의 단일화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김 후보는 당과 한 후보를 상대로 법적 분쟁에 돌입할 가능성이 크다.

김 후보는 이미 법원에 당 지도부의 후보 재선출에 대한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제기한 상태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