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일자리 찾아 떠나는 청년들, 지역 소멸 전조인가

강원특별자치도를 떠나는 청년들의 발길이 점점 잦아지고 있다. 강원지방통계지청이 발표한 올 1분기 강원경제동향에 따르면 20~40대 생산연령층의 순유출 인구는 2,453명에 달해 전년 대비 32.6%나 증가했다. 전체 순유출 인구 2,429명을 웃도는 수치로, 이들의 이탈이 지역 인구 감소를 주도하고 있음을 방증한다. 강원도가 직면한 가장 위중한 과제는 바로 ‘일자리’다. 젊은이들이 뿌리내릴 수 있는 일자리와 삶의 여건이 부족한 현실에서 이들의 이탈은 단순한 통계가 아니라 지역 소멸을 알리는 경고음이다. 지역경제의 활력은 인구, 특히 청년층의 존재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올 1분기 도내 건설수주액은 5,689억원으로 전년 대비 19% 줄어들었고, 광공업과 서비스업 생산지수 역시 각각 12.2%, 0.2% 하락했다.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아 외지로 떠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결과다. 특히 속초, 동해, 인제, 화천, 철원 등 대부분의 시·군에서 순유출이 이뤄지는 반면, 원주나 양양 등 일부 지역만이 근소한 순유입을 보이는 구조는 지역 불균형과 공동화를 동시에 드러낸다.

현재의 인구 구조와 경제 흐름을 방치한다면 수년 내 도내 다수의 군 지역은 사실상 기능을 상실할 수 있다. 청년 이탈을 막기 위한 해법은 분명하다. 우선, 지역 맞춤형 양질의 일자리를 확충해야 한다. 강원도는 천혜의 자연환경과 관광자원을 활용한 6차 산업 육성, 청년 창업 인프라 구축, 디지털 농업 및 스마트팜 도입 등 지역 특화 산업으로 일자리를 창출해야 할 때다. 단순히 수도권 기업을 유치하는 것을 넘어 강원도만의 산업 생태계를 설계하고 청년들이 장기적으로 머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그리고 주거·교육·문화 등 정주 여건을 개선해야 한다. 청년층은 일자리뿐 아니라 삶의 질을 중시한다. 양질의 교육 인프라, 저렴하고 쾌적한 주거지, 활력 있는 문화공간은 이들이 지역에 정착하게 만드는 핵심 요소다. 이와 더불어 청년 임대주택 확대, 원격근무 인프라 강화, 지역 커뮤니티 지원 등이 병행돼야 한다. 공공부문 일자리의 지역 분산도 적극 검토하지 않으면 안 된다. 강원도의 청년 인구 유출은 단기간에 해결될 수 없는 구조적 문제다. 그러나 지금이야말로 대대적인 전환점이 필요한 시점이다.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협력해 강원도의 산업 구조와 정주 여건을 혁신하지 않는다면 지역 소멸은 더 이상 미래의 우려가 아닌 현재의 현실이 될 것임이 분명하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