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16일(현지시간) 전쟁 발발 직후인 2022년 3월 이후 3년 만에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직접 협상을 시작했다.
양국 대표단은 이날 오후 1시 35분께부터 이스탄불 돌마바흐체 궁전에서 비공개 회담에 돌입했다. 당초 전날 협상이 예정됐으나, 회담 시간과 대표단 자격을 놓고 양측이 신경전을 벌이며 하루 연기됐다.
러시아 측 수석대표로는 블라디미르 메딘스키 크렘린궁 보좌관이, 우크라이나 측에서는 루스템 우메로프 국방장관이 참석했다. 하칸 피단 튀르키예 외무장관이 중재하는 3자 회담 방식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로이터 통신은 우크라이나 소식통을 인용, 우크라이나 대표단이 무조건적인 휴전을 최우선으로 논의하고 양국 정상 간 회담을 제안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또한, 우크라이나 측은 인도주의적 신뢰 구축 조치로 우크라이나 어린이 송환, 민간인 석방, 전쟁 포로 교환 등을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러시아는 이번 대화가 2022년 3월 중단된 협상의 연장선이며 '장기적 평화 구축'이 목표라는 입장을 밝혔다. 당시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중립국화, 크림반도의 러시아 영토 인정, 돈바스 지역의 독립 인정 등을 요구한 바 있다.
러시아의 요구 조건이 우크라이나로서는 수용하기 어려운 수준이어서, 러시아의 입장 변화가 없을 경우 이번 회담에서 괄목할 만한 결과가 나오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이번 양자 회담은 미국과 유럽의 휴전 압박을 받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전격적으로 제안하며 성사됐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정상 간 회담을 역제안했으나, 푸틴 대통령의 거부로 무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