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사회가 현실로 다가온 오늘날 지방자치단체의 고령층 복지 정책은 그 지역의 지속 가능성을 가늠하는 바로미터가 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태백시가 ‘명품 어르신 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 추진으로 주목받고 있다. 의료, 요양, 돌봄 등 고령층 복지의 각 영역을 유기적으로 통합하고 일상 속에서 실질적인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태백시의 노력은 긍정적이다. 먼저, 태백시는 보건복지부의 ‘2025년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에 선정되며 통합적 노인 돌봄 정책의 제도적 기반을 갖췄다. 이는 돌봄통합지원법 시행에 앞서 지역 내 분산되어 있던 어르신 관련 서비스를 일원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수조사와 조례 제정을 통해 지역 실정에 부합하는 맞춤형 지원체계를 구축하겠다는 의지는 행정의 선제적 대응이다. 정책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업들도 눈에 띈다. 하반기부터 시행 예정인 보청기·보행보조차 지원사업은 노년층의 신체적 불편 해소를 위한 생활밀착형 복지의 모범 사례다.
또한 임플란트 지원 범위를 확대해 중위소득 100% 이하 어르신까지 지원을 가능케 한 조치는 보다 촘촘한 복지망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노인 일자리 정책에서도 괄목할 만한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최근 3년간 노인 일자리 참여 인원이 평균 3,131명으로 이전보다 36.5% 증가했고, 사업비도 53.4% 늘어난 132억5,800만원에 달한다. 이는 단순한 복지 차원을 넘어 고령층의 사회 참여를 유도하고 자존감을 높이는 적극적 정책 효과를 보여준다. 무엇보다 노인의 경험과 역량을 지역사회 안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적 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태백시는 과거 석탄산업 쇠퇴 이후 급속한 인구 감소와 고령화라는 이중고에 직면해 있었다. 이러한 구조적 위기 속에서 어르신 복지를 도시의 미래 성장 전략으로 전환한 것은 주목할 만하다. 노인 인구를 단지 보호 대상이 아닌 도시 재생의 주체로 바라보는 인식의 변화가 정책에 반영되었기에 가능한 일이다. 물론 과제도 남아 있다. 지속적인 재원 확보, 정책 수요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체계 정비, 그리고 정책의 수혜자가 실질적인 체감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행정의 정밀성이 뒷받침돼야 한다. 특히 고령층 내에서도 복지 수요가 이질적인 만큼, 향후에는 건강 상태나 사회 참여도, 경제 수준 등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 설계가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