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최악 무더위 예상, 취약계층 여름나기 살펴야

올해 강원자치도의 여름은 그야말로 기후 위기의 최전선에 있다. 장마도 채 끝나지 않은 시점에 강릉 35.2도, 삼척 34도 등 도내 전역이 30도를 웃도는 폭염에 휩싸였고, 불과 며칠 사이 170㎜가 넘는 집중호우가 내렸다. 이 같은 이상기후는 단지 불편함의 문제가 아니라 인명과 재산에 직결되는 생존의 문제로 이어진다.

기상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까지 강원도의 폭염일수는 3.2일로 역대 세 번째 수준이며, 열대야도 벌써 세 차례 발생했다. 지난 여름 평균 최고기온이 29.9도였던 데 반해 올해는 6월부터 무더위가 시작된 만큼 30도를 훌쩍 넘어설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미 도내 온열질환자는 6월 말 현재 25명에 달하며, 인구 대비 환자 비율은 전국 최고 수준이다. 지난해 역대급 폭염과 같은 양상을 올해도 반복하고 있는 것이다.

무더위는 누구에게나 위협이 되지만 특히 취약계층에게는 더 치명적이다. 고령자, 저소득층, 독거노인, 주거환경이 열악한 시민들은 폭염에 노출되기 쉽고, 에어컨조차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들은 온열질환은 물론 폭염으로 인한 심혈관계질환, 정신적 스트레스 등 2차 피해에도 취약하다. 여기에 집중호우와 소나기까지 잦아지면서 주거지 붕괴, 침수 등의 우려도 병존하고 있다. 이 같은 위기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실효성 있는 폭염 대응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 도와 각 지자체는 무더위쉼터, 물안개터널, 이동형 냉방차량 등 기존의 대응 수단을 재점검하고, 냉방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한 선제적 보호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행정기관의 정보 전달체계를 보완해 기상정보와 건강수칙, 응급 대처 방법 등을 효과적으로 전달해야 함은 물론이다. 폭염은 단기간 지속되는 특성이 있는 만큼, 신속한 대응이 피해를 최소화하는 관건이다.

무더위와의 전쟁은 단지 올해 여름만의 문제가 아니다. 이제는 기후 위기에 대처하는 장기적 전략이 필요하다. 그 출발점은 지역별 특성에 맞춘 기후 적응 정책이다. 도는 산악과 해안, 도심이 공존하기 때문에 기후 양상이 지역별로 상이하다. 이에 따라 재난 취약지도 작성을 확대하고, 기후복지 예산을 강화하는 등 구조적 대응을 병행해야 한다. 특히 고령화가 심화된 농촌 지역에서는 마을 단위의 폭염 대응 시스템이 더욱 절실하다. 더불어 학교, 공공기관 등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냉방 설비 확충과 이용 시간 확대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 기후 위기 시대에는 단순한 날씨 대응이 아니라 생명과 직결된 복지로 접근해야 한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