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일 코스피가 반도체주 상승 압력에 힘입어 장중 3,200을 돌파하며 연고점을 경신했다.
다만 외국인의 순매도세에 지수 상승폭은 제한되고 있다.
증권가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40분 기준 코스피는 전장보다 1.54포인트(0.05%) 오른 3,184.77이다.
지수는 전장보다 3.12포인트(0.10%) 오른 3,186.35로 출발해 상승폭을 키우며 3,216.69까지 올라 전날 기록한 연고점(3,183.23)을 경신했다.
지수가 장중 3,200선을 기록한 것은 지난 2021년 9월 7일(3,201.76) 이후 3년 10개월 만이다.
그러나 이후 상승폭을 줄이며 3,180대로 내려섰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날보다 2.3원 오른 1,372.3원에 거래를 시작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이 1천467억원 순매수하고 있으며,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천238억원, 184억원 매도 우위를 보이고 있다.
외국인은 코스피200선물시장에서도 995억원 순매도하고 있다.
간밤 뉴욕증시는 미국과 브라질 간 고조되는 무역 갈등에도 견조한 투자 심리가 이어지며 3대 지수가 일제히 올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월 1일부터 브라질산 수입품 관세율을 50%로 인상하겠다고 위협하고 브라질도 이에 50% 맞불 관세 부과 방침을 내비쳤지만, '오락가락' 트럼프 관세에 투자자들이 둔감해지면서 매수세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엔비디아(0.75%)는 사흘째 상승세를 지속하며 시가총액이 종가 기준으로도 4조달러를 처음 넘어섰다.
다. 전날 대만 반도체 기업 TSMC의 2분기 매출이 인공지능(AI) 수요 급증에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점도 반도체주에 대한 매수세를 자극하는 분위기다.
다만 최근 연이어 연고점을 경신하며 고점 부담이 커지면서 상단은 제한되고 있다. 원/달러 환율 상승세가 지속되며 외국인의 투자 심리가 위축된 점도 상승폭을 제한하는 분위기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트럼프의 횡포는 여전하지만 대부분 시장 참여자가 그저 '타코(TACO·트럼프는 항상 겁먹고 물러난다는 뜻)' 정도로 받아들이고 있다"며 "TSMC의 2분기 매출이 사상 최대치를 경신한 점은 국내 반도체주에 다분히 긍정적인 소식"이라고 설명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 SK하이닉스(3.03%)가 30만원대로 올라섰으며, 삼성전자(1.56%)도 강세다.
아울러 KB금융(0.51%), 현대차(0.96%), 기아(1.00%)도 상승 중이다.
반면 삼성바이오로직스(-0.83%), LG에너지솔루션(-0.31%), NAVER(-1.25%), 두산에너빌리티(-1.43%) 등은 하락하고 있다.
업종별로 보면 전기전자(1.27%), 운송창고(0.95%), 통신(1.42%) 등이 오르고 있으며 유통(-1.14%), 제약(-0.59%) 등은 하락 중이다.
같은 시각 코스닥지수는 전장보다 3.98포인트(0.50%) 오른 801.68이다.
지수는 전장보다 2.26포인트(0.28%) 오른 799.96으로 출발해 805.90까지 올라 지난달 25일(803.93) 이후 12거래일 만에 800선을 회복했다.
코스닥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16억원, 25억원 순매수하고 있으며 개인은 364억원 순매도 중이다.
에코프로비엠(3.05%), 에코프로(3.09%) 등 이차전지주와 HLB(4.35%), 파마리서치(2.14%), 휴젤(1.84%) 등이 오르고 있다.
알테오젠(-1.11%), 리가켐바이오(-3.67%), 펩트론(-1.63%), 삼천당제약(-1.16%) 등은 하락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