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척】삼척의료원이 내년 이전을 앞두고 있는 반면 의료원과 같은 공간에 위치한 공공 산후조리원이 이전 대상에서 제외돼 이전을 촉구하는 의견이 제기됐다.
양희전 삼척시의원은 17일 시의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산후조리원이 삼척의료원 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와 한 공간에서 연계 운영돼 출산 종합 의료서비스 제공과 함께 응급상황에도 신속 대응할 수 있는 안전망 역할을 해 왔지만, 삼척의료원 이전·신축으로 인해 이러한 기능이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다고 주장했다.
양 의원은 “의료 연계가 단절되고 응급 대응체계가 약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는 만큼, 삼척시가 산후조리원의 통합 이전을 포함한 종합대책을 마련하고, 출산·육아 인프라 전반에 대한 선제적 대응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삼척의료원 이전·신축 과정에서 발생한 산후조리원의 이전 제외는 시민들에게 출산 및 의료정책의 후퇴로 비칠 수 밖에 없다”며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도시 삼척을 만들기 위한 행정의 책임있는 결단이 요구된다”고 촉구했다.

또 “저출산 시대에 공공의 역할이 더욱 강화돼야 하고, 산모와 신생아의 안전과 편의를 최우선으로 생각해야 한다”며 “공공산후조리원과 삼척의료원간의 간격 발생을 단순한 거리의 문제가 아니라, 생명과 직결된 응급 의료시스템의 단절이라는 중대한 문제라는 시각으로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