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거센 사퇴요구에도 대통령실 "기류 변화 없다" 선 긋기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청문정국 끝나고 결단할 듯

강유정 청와대 대변인이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전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국가적 참사 유가족 경청 행사' 등과 관련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거센 사퇴 요구에 직면한 강선우 여성가족부·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임명 여부를 놓고 대통령실이 고심하며 신중한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이규연 홍보소통수석은 17일 공지를 통해 "강선우 후보에 대해 자진사퇴로 대통령실 분위기가 기울었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는 사실과 다름으로 바로 잡는다"며 "대통령실은 기존 입장에 변함 없다"고 밝혔다.

거듭된 사퇴 압박에 대통령실이 강 후보자 '낙마'로 입장을 선회했다는 일부 언론의 해석 기사를 공식 반박한 것이다.

강유정 대변인도 이날 브리핑에서 "아직 특별한 기류 변화가 없다"고 했다.

이어 "지금은 인사청문 과정 중으로 모든 과정을 다 살펴보고 나서 인사권으로 답을 할 것"이라고 했다.

전날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이 "일부 후보자 여론 동향이 매우 안 좋게 돌아가는 것도 대통령에게 보고하고 있다"는 공개적인 언급과 여당의 기류 변화 등을 감안하면 적어도 강 후보자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으로 기울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결국 임명권자인 이재명 대통령의 결심에 관심이 쏠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국민주권정부라고 명명한 만큼 여론을 도외시할 순 없지만, 낙마가 현실화하면 개혁에 박차를 가해야 할 임기 초반의 국정 운영에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측면이 고민의 깊이를 더하게 하는 요인이다.

여기에 강 후보자가 사퇴할 경우 2000년 고위공직자 인사청문제도 도입 후 첫 현역 의원 낙마라는 불명예를 안게 된다.

다만 논란 있는 후보자 임명을 강행하는 것보다는 '국민 눈높이'를 중시하는 모습을 부각하면 오히려 국정운영에 도움이 될 것이란 반론 역시 없진 않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이 후보자는 의혹이 일부 소명된 측면이 있고 강 후보자는 어렵지 않나 싶지만, 끝까지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