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을 강하게 반대해온 한국사 강사 전한길 씨가 지난달 국민의힘에 입당한 사실이 뒤늦게 확인돼 당내 비주류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전 씨는 지난달 8일 ‘전유관’이라는 본명으로 온라인 입당을 신청했고, 다음 날 국민의힘 서울시당이 이를 승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사실은 전 씨가 지난 14일 윤상현 의원 주최의 토론회 '무엇을 할 것인가, 자유공화 리셋코리아를 위하여'에 참석해 "국민의힘 당원이 됐다"고 공개적으로 밝히면서 알려졌다.
토론회 이전까지는 지도부조차 전 씨의 입당 여부를 인지하지 못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정점식 사무총장은 17일 비상대책위원회 직후 관련 질문에 "6월 9일에 입당이 이뤄졌지만, 온라인 입당의 경우 구체적인 사전 확인은 어렵다"며 "입당을 막을 제도적 장치도 없다"고 설명했다.
박성훈 수석대변인도 "요즘은 대부분 온라인으로 입당 신청이 이뤄진다"면서 "생각이 다르다고 해서 입당을 거부할 수는 없는 게 현실"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당내 비주류를 중심으로는 거센 반발이 일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의 12·3 계엄령 시도와 탄핵 사태 이후 민심이 돌아선 것이 지난 대선 패배의 주요 원인이라는 평가 속에, 당시 탄핵 반대 여론을 주도했던 전 씨의 입당은 당의 혁신 노력을 무색하게 만든다는 지적이다.
일부 인사들은 당이 과거와 결별하려는 시점에 오히려 극우적 색채를 강화하고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한동훈 전 대표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전한길 강사처럼 ‘부정선거 음모론’과 ‘윤석열 어게인’의 상징이 된 인물을 입당시킨 데 대해 국민이 어떻게 받아들일지 생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윤희숙 혁신위원장은 기자들과 만나 “입당 자체를 막을 수는 없겠지만, 이런 일이 당을 더 위험하게 만든다”고 말했다.
그는 앞서 계엄령 사태에 대한 사죄를 당헌·당규에 포함시키는 혁신안을 제안한 바 있다.
김용태 전 비대위원장도 페이스북을 통해 “당시 내가 비대위원장으로 재직 중이었다면 입당자격심사위를 열어 전 씨의 입당을 막았을 것”이라며 “부정선거 주장을 펴고 계엄을 옹호하는 전 씨는 즉각 출당시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일부에선 전 씨가 입당한 시점이 김 전 위원장이 비대위원장으로 있던 시기였던 점을 들어, 그 역시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