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영월 스포츠파크 공영주차장, 수년째 얌체 캠핑족들의 ‘알박기 장기주차’로 몸살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영월 스포츠파크 공영주차장에 얌체 캠핑족들이 나무를 이용해 빨래를 말리고 있다.
영월 스포츠파크 공영주차장에 얌체 캠핑족들이 나무를 이용해 빨래를 말리고 있다.
29일 찾은 스포츠파크 공영주차장에 다수의 카트형 보트 트레일러가 주차돼 있다.
29일 찾은 스포츠파크 공영주차장에 카라반과 카트형 보트 트레일러가 주차돼 있다.

【영월】영월 스포츠파크 공영주차장이 수년째 얌체 캠핑족들의 ‘알박기 장기주차’로 몸살을 앓고 있다.

29일 찾은 스포츠파크 공영주차장에는 캠핑카와 카라반 십여 대가 줄지어 주차돼 있었다.

캠핑카 바로 옆에 나무에는 빨랫줄이 걸려 있고, 세탁된 옷가지가 햇볕에 말라가고 있었다.

인근 공영화장실은 본래의 기능을 잃고 캠핑족들의 세탁실과 공동샤워장으로 전락한 상태다.

무료라는 점을 악용해 장기 주차는 물론 세탁까지 이뤄지는 등 공공시설의 사유화가 도를 넘고 있다는 지적이다.

다수의 카트형 보트 트레일러와 폐차 수준의 차량들이 공영주차장을 무단 장기 캠핑지로 변질시키면서 지역 주민과 체육시설 이용객들은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특히 무료 운영을 악용해 타 지역 차량까지 유입되는 것으로 알려져, 공공자원이 소수의 편의에 의해 점령되며 주차공간 부족은 물론, 위생·안전 문제까지 우려되는 상황이다.

지역에서는 공공질서를 파괴하는 무분별한 장기주차와 무단 점유를 막을 수 있는 공공시설 이용 기준과 단속 등 실효성 있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주민 엄기봉(78)씨는 “스포츠파크 공영 주차장은 체육시설을 이용하거나 행사에 참여하려는 군민들을 위한 공간인데, 수년째 꿈쩍도 않는 캠핑카들 때문에 정작 필요한 사람들이 주차를 못하고 있다”며 “도로변 불법주차까지 유발되고 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영월군 관계자는 “과태료 부과 등 제도적 강력한 행정 조치에 한계가 있다”며 “공영주차장 본래의 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조례 제정 등 공공 질서 관리 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