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관세 유예 마감일(8월 1일)을 앞두고 강원특별자치도가 유관기관 긴급 대책회의를 열었다. 한미 관세 협상 시한이 이틀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강원지역 수출 기업들의 피해 최소화를 위해 강원자치도가 어떤 선제적 대응방안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강원자치도는 29일 도청 회의실에서 무역협회 강원본부, 코트라(KOTRA) 강원지원단, 강원지방중소벤처기업청, 강원연구원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미국의 관세 확정에 대비한 유관기관 긴급 대책회의를 가졌다.
회의에서는 최종 관세 협정 타결, 적용 등 예상 시나리오를 갖고 기관별 즉시 추진 가능한 과제 협의, 피해기업 지원 및 공동 대응 협력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날 참석 기관들은 상호 관세가 확정되면 지역 기업들의 수출을 위한 가격 경쟁력이 약화되고 결국 당장 대미 수출이 크게 줄어 강원지역 수출에도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미국은 강원자치도 수출의 최대 시장 중 하나로, 이미 물류비와 원자재 가격 부담이 큰 상황에서 관세 부담까지 더해지면 지역 수출 기업들 뿐만 아니라 부품을 공급하는 다른 기업들까지 연쇄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홍승범 무역협회 강원본부장은 “해당 기업이나 피해 업종에 대한 밀착 지원이 필요하다”며 “물류비, 관세 관련 컨설팅이나 대응책 설명회 등을 빠르게 진행해 피해나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고 했다.
김운태 코트라 강원지원단장은 “상호관세 및 자동차 관세율이 15%보다 높은 수준으로 결정된다면 지역 관련 산업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상황을 예의주시 중”이라며 “중동, 동남아 등 대체시장 발굴 등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고 찾아가는 관세대응 설명회 등을 통해 대체시장 관련 정보 전파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병진 강원지방중소벤처기업청 지역정책과장은 “지난 5월 발표한 수출 중소기업 추가지원 방안을 바탕으로 관세 발효시 지역 기업들의 의견을 수렴해 산업별 지원 방안 등을 찾아 지원해 나갈 것” 이라고 말했다.
도는 이번 회의를 통해 △피해기업 일대일 전문가 컨설팅 제공 △‘강원형 관세대응 바우처’ 시범사업 검토 △신시장 개척 및 수출 다변화 전략 추진 △민·관·공 공동 대응 협의체 운영 등을 중심으로 관세 불확실성에 유연하고 실효성 있는 대응체계 구상(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도 관계자는 “이번 긴급 회의를 통해 수출기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실질적 대응방안을 8월 1일 발효 예정인 상호주의 관세 조치 전까지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