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재외국민 신원확인 수단·활용분야 확대…'아이핀'도 도입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재외동포청·KISA, NH농협·IBK기업·NICE평가정보 등 추가

국내 휴대전화가 없어 온라인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을 겪던 재외국민들을 위해 비대면 신원확인 수단이 다양해진다. 또 인증을 통한 활용 분야도 대폭 확대된다.

재외동포청(청장:이상덕)과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이상중)은 30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NH농협은행, IBK기업은행, NICE평가정보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재외국민 대상 신원확인 서비스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번 협약으로 기존 '재외국민 인증서' 외에 NICE평가정보가 제공하는 '재외국민 아이핀(I-PIN)' 서비스가 추가된다. NH농협과 IBK기업은행의 인증서 발급 서비스도 올해 말부터 순차 개시될 예정이다.

지난해 11월 재외동포청과 한국인터넷진흥원은 국민·신한·우리·하나은행, 비바리퍼블리카(토스)와 손잡고 '재외동포인증센터'를 출범, 국내 휴대전화 없이도 '재외국민 인증서'를 발급받을 수 있도록 했다.

이제 재외국민들은 본인 명의의 국내 휴대전화 없이도 전자정부, 금융은 물론 ▲디지털 플랫폼(네이버 등) ▲쇼핑 ▲통신 ▲의료기관 진료 예약 ▲대학교 원격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각 기관은 이번 MOU를 통해 역할을 분담했다. 재외동포청은 정책 수립과 시행을 맡고, KISA는 재외국민 비대면 신원확인 방법 마련 및 정부와 민간 간 상호연계 제공, 민간 사업자는 재외국민 대상 편리하고 안전한 신원확인 서비스 제공 등을 담당한다.

재외동포서비스지원센터 김연식 센터장은 "국내 휴대전화 없이는 신원확인이 어려웠던 재외국민의 큰 불편 사항을 해소하고, 내국민 수준의 디지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지속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KISA 디지털안전지원본부 김정희 본부장도 "앞으로도 재외국민이 국내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기술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