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과 미국 간 합의된 상호관세율 15%가 오는 7일부터 적용되며 수출 시장 다변화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올해 수출 목표를 30억 달러(약 4조 원)로 설정한 강원특별자치도는 미국발 관세 위기를 뛰어넘어 수출 안정화에 대한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이번 한·미 협상으로 관세 부담은 완화됐지만 미국은 강원도 기업들의 최대 수출국인 만큼 영향은 여전히 적지 않을 전망이다.
한국무역협회 강원지역본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월) 강원도 1위 수출 대상국은 미국(4,712만 달러)이다. 2위는 중국(2,700만 달러), 3위는 일본(1,602만 달러) 순이다.
특히 미국 수출은 5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고 주요 품목은 면류가 1위, 그 뒤를 자동차부품·의료용 전자기기·화장품·의약품 등이 잇고 있다.
미국이 강원 기업의 수출 국가 1위인 만큼 대체 시장을 찾아야 한다는 업계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한 해 평균 2조원원의 매출액을 올리고 있는 자동차부품업은 관세 부과로 인한 기업의 수익구조 불안정성이 커질 수 밖에 없다고 우려하고 있다. 정석한 강원이모빌리티산업협회 전무는 "중소기업들이 무역 시장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라며 “지자체와 정부의 대체 시장 마련 등 현실적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세 부과로 당장 이번 달 부터 수출 기업에 영향이 미칠 것으로 예상되자 도는 피해 진단 및 대응 지원 체계를 본격 가동한다고 3일 밝혔다. 현재 강원연구원은 주요 수출 품목 및 기업 구조를 분석, 이를 바탕으로 유관기관과 협력해 이달 중 공동 대응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김만호 강원특별자치도 경제국장은 “정밀한 분석에 기반한 대응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단기적으로는 기업 피해를 최소화하고, 장기적으로는 수출 구조 개편과 시장 다변화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대응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