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강제징용서 해방되지 못한 8,000명…하루빨리 명예회복 이뤄져야

[80년간 해결하지 못한 과제…한·일 과거사]
보훈 대상자 인정 못받는 태평양전쟁 희생자
서운함 밀려온 광복절…“정부 관심 가져줘야”

◇홍영숙 태평양전쟁 한국인희생자유족회장이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피해자진상규명 심의자료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 손지찬 기자.

“하루빨리 일제 강점기 강제징용 희생자들의 명예회복이 이뤄졌으면 좋겠습니다”

광복절을 하루 앞둔 14일 홍영숙 태평양전쟁 한국인희생자유족회장의 얼굴에는 서운함이 가득했다. 외면받고 소외됐던 일제 강점기 강제동원 희생자들의 상실감이 해방 80주년을 맞아 더욱 크게 느껴졌기 때문이다.

강원도 춘천에 위치한 태평양전쟁 한국인희생자유족회는 2000년 일본 후지코시사 소송 등을 승리를 이끌고, 일본에서 숨진 징용 희생자 513명의 유해를 되찾아 오는 등 40년 가까이 징용 피해자들의 명예회복을 위해 힘써 왔다.

홍 회장은 고인이 된 남편의 뜻을 이어받아 20년 가까이 유족회를 운영하고 있지만, 보훈단체로 인정받지 못한 현실은 2025년이 되어서도 그대로다.

1965년 체결된 한일협정에 따라 일본이 제공한 5억 달러(무상 3억 달러·유상 2억 달러)는 태평양전쟁과 강제동원 피해자에 대한 청구권 문제를 포함한 ‘완전하고 최종적인 해결’ 명목으로 지급됐다. 하지만 이 자금 대부분은 피해자 개인에게 직접 배상되지 않고 국가 산업과 사회간접자본 확충에 투입됐다. 국가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가 있지만, 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한 보상과 예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은 오늘날까지 논란이 되고 있다.

홍 회장은 “일제 강점기 시절 억울함을 풀지 못하고 돌아간 강원도 8,000여명의 피해자들 한이 여전하다”며 “정작 우리 정부는 식민지 시절을 돌아보지 않고 숨기고 싶어 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일제에 강제로 끌려간 희생자들에 대해 정부가 관심을 가져야 한다”며 “대한민국의 유공자로 명예회복을 해줘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홍영숙 태평양전쟁 한국인희생자유족회장이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피해자진상규명 심의자료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 손지찬 기자.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