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일반

‘새 박사’ 윤무부 경희대 명예교수 별세…향년 84세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2011년 '새박사 윤무부 교수와 함께하는 한강철새탐조유람선'이라는 생태체험캠프에서 어린이들에게 철새에 대해 설명하는 고인. 사진=연합뉴스

‘새 박사’로 널리 알려진 윤무부(尹茂夫) 경희대 생물학과 명예교수가 15일 0시 1분, 경희의료원에서 별세했다. 향년 84세다.

유족에 따르면 윤 교수는 지난 2006년 뇌경색으로 쓰러졌지만 재활을 통해 회복했고, 이후 6월 다시 병이 재발해 경희의료원에서 치료를 받아왔다.

고인은 경남 통영군 장승포읍(현 거제시 장승포동) 출신으로, 한영고와 경희대 생물학과 및 대학원을 졸업했다.

1995년에는 한국교원대학교에서 ‘한국에 사는 휘파람새 Song의 지리적 변이’에 관한 논문으로 생물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79년부터 2006년까지 경희대 생물학과에서 강의했으며, 2006년부터 2014년까지는 명예교수로 활동했다.

또 한국동물학회(1990), 한국생태학회(1993) 이사와 함께 국립공원관리공단, 한강관리사무소, 문화체육부, 내무부, 서울시 등 여러 기관의 자문위원으로도 참여했다. 2001년에는 유엔 평화홍보대사를 역임했다.

윤 교수는 KBS '퀴즈탐험 신비의 세계' 해설위원으로 활동하며, 다양한 TV 프로그램에 출연해 조류 생태에 대한 대중적 이해를 높였다.

1980∼1990년대에는 CF 광고에도 얼굴을 비치며 대중적인 인지도를 얻었다.

학문적으로는 야생조류와 매미들의 소리를 담은 오디오북 『한국의 새』(1984)를 비롯해 『한국의 텃새』(1990), 『한국의 철새』(1990), 『한국의 자연탐험』(1993), 『WILD BIRDS OF KOREA』(1995), 『대머리 독수리는 왜 대머리일까요』(1998, 공저), 『개굴 개굴 자연관찰』(2010) 등 다수의 저서를 남겼다.

1994년에는 『윤무부 교수의 자연탐사 비디오』도 발간했다.

어릴 적부터 새에 대한 관심을 키운 윤 교수는 열정적인 탐조 활동가이기도 했다.

대학원 시절인 1967년, 광릉수목원(현 국립수목원)에서 탐조 여행 중 폭우에 휩쓸리는 사고를 겪고도 살아났으며, 1971년 충북 음성에서 마지막으로 발견된 황새 암수 중 수컷이 밀렵으로 사망하자 이를 경희대 자연사박물관에 표본으로 남기기도 했다.

이후 1994년 암컷마저 농약 중독으로 폐사하자, 1996년 한국교원대가 러시아에서 황새 2마리를 들여와 복원에 나서는 계기가 됐다.

그는 자랑스런서울시민상(1993), 환경우수상(1997), 자랑스런서울시민 500인상(1999), 자랑스러운 경희인상(2011) 등을 수상하며 학문과 대중 활동을 아우른 인물로 평가받는다.

유족으로는 부인 김정애 씨와 1남 1녀(윤정림·윤종민<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 복원센터 연구원>), 며느리 김영지 씨, 사위 김필관 씨가 있다.

빈소는 경희의료원 장례식장 203호에 마련됐으며, 발인은 17일 오전 8시 30분이다. 장지는 ‘별그리다’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