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은 28일 '광복은 연합국의 승리로 얻은 선물'이라고 발언하는 등 극우 성향을 드러내 논란을 일으킨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이 이번에는 독립기념관을 사적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사퇴할 것을 촉구했다.
문진석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김 관장이 독립기념관에서 교회 신도들과 예배를 보거나 학생군사교육단(학군단·ROTC) 동기 모임을 가졌다는 언론 보도를 언급하며 "독립운동정신을 계승해야 할 독립기념관을 개인의 종교활동과 친목 공간으로 훼손한 행위는 결코 용서받을 수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독립기념관은 김 관장의 사유물이 아니다. 역사왜곡에 이어 공사 구분을 하지 못하는 자는 공직에 머물 자격이 없다"며 "김 관장은 국민 앞에 즉각 사과하고 자리에서 물러나야 한다"고 했다.
박상혁 원내소통수석부대표는 "독립기념관 사유화는 진짜 수사 대상"이라며 "임기를 지키기는커녕 집권 남용, 배임죄 등으로 수사 대상이 될 걱정이나 하시길 바란다"고 경고했다.
박 수석부대표는 김 관장이 유물 보호를 위해 출입이 엄격하게 금지돼 온 수장고에 지인들을 출입시켰다고 주장하며 "우리 국민의 성금과 염원으로 지어진 독립기념관이 친일파 명예 회복을 주장하는 무자격 관장에 의해 사유화·유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윤석열이 곳곳에 박아놓은 무자격 파렴치한 인사들이 여전히 국정운영을 어지럽히고 방해·훼방하고 있다"며 "윤석열의 '무자격 알박기' 인사들의 실체를 명명백백하게 드러내 국가기관의 정상화를 이루겠다"고 말했다.

한정애 정책위의장도 "김 관장은 독립운동의 역사적 의미와 독립유공자 명예를 훼손하고 국민 눈높이와 헌법 정신을 위배해 독립기념관을 운영했을 뿐 아니라 공공기관장으로서 중립성을 위반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독립유공자 자손으로부터 물러나라 요구받고, 광복회로부터 외면받는 독립기념관장이 도대체 왜 그 자리에 있는 것인가. 부끄러운 줄 알라"며 거듭 사퇴를 촉구했다.
한편, 김 관장의 발언이 논란으로 번지자 주무부처인 국가보훈부도 김 관장에 대한 경고에 나섰다.
지난 27일 국가보훈부는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이 김 관장에 대한 엄중한 경고 차원의 서한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권 장관은 서한에서 "독립기념관장은 공적 책무를 다해야 하며, 어떤 경우에도 개인적 주장을 기관 운영에 앞세워서는 안 된다"며 "관장은 뉴라이트, 역사관 논란을 스스로 야기하며 국민을 분열시키고 독립기념관 위상을 심각하게 흔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권 장관은 특히 김 관장의 지난 광복절 경축식 기념사를 언급하며 "독립운동의 역사적 의미를 훼손하는 논란을 자초해 독립유공자 후손과 국민에게 깊은 상처를 줬으며, 이는 독립기념관의 권위를 흔드는 중대한 과오"라고 비판했다.
또 "최근에는 내부 안내문을 통해 독립기념관 내 시위와 농성의 원인을 국회의원에게 돌리는 부적절한 발언을 해 공공기관장으로서 중립성과 품위를 저버렸으며 이는 국민과 국회를 존중해야 할 기관장 기본자세에도 전혀 부합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권 장관은 "독립운동의 역사와 독립유공자 명예를 폄훼하는듯한 언행은 결코 묵과될 수 없다"며 △독립운동의 역사적 의미와 독립유공자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언행을 즉시 중단할 것 △독립기념관 운영 전반이 국민 눈높이와 헌법 정신에 부합하게 즉각 시정할 것 △국회의원이나 특정 인사를 비난하는 등 정치적 논란을 야기하는 언행을 일절 삼가고 중립성을 지킬 것을 지시했다.
아울러 본연의 책무를 다하지 못하고 공적 기관의 신뢰를 계속 훼손하는 경우, 관장 직무를 수행할 어떤 명분도 상실하게 될 것이라는 점을 명확히 인식해야 한다고 했다.
권 장관은 "독립기념관은 특정 개인의 학문적 주장이나 논쟁의 장이 아니라, 국민이 지켜온 역사적 자존심이자 후세에 물려줄 정신적 유산"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