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특별자치도가 강릉시의 극심한 가뭄에 대응하기 위해 재난안전대책본부 운영 단계를 2단계로 격상하고, 전 행정력을 동원한 총력 대응에 나섰다.
강원자치도는 지난 31일 오후 강릉시청에서 여중협 행정부지사 주재로 가뭄 대책 회의를 열고, 재난사태 선포에 따른 긴급 대책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도내 관계부서와 강원도교육청, 수자원공사, 농어촌공사 등 유관기관이 참석했다.
회의에서 도는 재난안전대책본부 수준을 2단계로 격상해 즉시 가동하기로 결정했다. 이어 취약계층을 위한 물공급 대책, 농업용수 부족으로 인한 피해 예방, 소상공인 지원, 리조트 등 대형 숙박시설 절수 요청, 학교 단축 수업과 급식 대책 검토 등을 포함한 종합 대책을 마련했다. 아울러 전국 살수차 지원 요청과 민간 기부 및 자원봉사 등 민간 협력도 확대할 계획이다.
또 9월 1일부터 재난사태 해제 시까지 강릉시에 팀장급 현장 상황관리관을 파견해 신속한 정보 공유 및 현장 대응체계를 구축한다. 이날 현재 오봉저수지 저수율은 14.9%로, 뚜렷한 강수 예보가 없어 2주 내 급수 및 농업용수 공급 차질이 우려된다.
여 부지사는 “생활용수 제한급수라는 초유의 상황 속에서 주민 피해 최소화를 위해 범정부 차원의 대응이 절실하다”며 “전 행정력을 집중해 지역경제와 주민 일상을 지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