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15 광복절 특별사면으로 풀려나 정치 재개 행보를 이어가는 조국혁신당 조국 혁신정책연구원장은 "윤석열 (전 대통령) 이후의 정치 지형에서 지금과 같은 극우 국민의힘이 존재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조 원장은 1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내년 지방선거의 목표를 '내란 세력·국민의힘 제로(0)'로 제시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우리 사회에서 보수가 필요한데 저런 식의 보수는 나라를 망친다"면서 "내년 지선에서 국민의힘 지방자체단체장 0명, 2028년 총선에서 의석수 반 토막을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내년 지자체장, 국회의원 보궐선거 가운데 선택을 해야 하는데 시점을 언제로 보는가'라는 질문에 "(올해 11월 전당대회에서) 제가 당 대표가 된다고 전제하면 대표 복귀 이후가 결정 시점이 될 것"이라며 "연말 연초에 선거기획단을 짜서 조국이 어떤 역할을 해야 할 것인가 논의해야 한다"고 답했다.
'사면 이후 민주당 일각에서 자숙과 성찰의 시간이 필요하다'며 견제구가 날아오는데 어떻게 보는가'라는 물음에는 "저에 대한 충언이라고 생각하고, 감사한 마음으로 돌아보고 있다"면서 "혁신당이 작은 정당이 아니냐. 비판받더라도 혁신당의 역할, 시대적 과제를 얘기하고 움직이는 게 맞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2030세대 남성 일부 극우화' 주장을 펼친 데 대해선 "실제 연구·조사 결과에 기반한 언급이었다"며 "극우는 아니라고 하더라도 2030 남성들이 가진 소외감이 있는데 이는 기성세대가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했다.
민주당과의 관계를 얘기하며 '좌완투수 역할론'을 언급한 데 대해선 "이재명 정부는 중도보수 정당을 자임하고 공정·성장 전략을 얘기하는데 현명한 전략"이라며 "혁신당의 역할은 불평등 제로 전략을 펴는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윤석열이 감옥에 갔다고 삶이 좋아지는 게 아니다. 등록금·집·일자리·결혼·육아 등 생애주기 전체에 있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면서 "국가가 재정·조세정책을 통해서 훨씬 더 깊이 개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당 일각에서 흘러나오는 합당설에 대해서는 "중대선거구제 도입, 소수정당의 (원활한) 국회 진입 등 정치개혁을 해야 한다"면서 "주거·의료·돌봄·교육 분야에서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는 민생 개혁도 필요하다. 인권 개혁도 중요한데 가장 큰 쟁점이 포괄적 차별금지법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정치·민생·인권 개혁 문제에서 더불어민주당과 이견이 있기에 "지금은 '따로 또 같이' 가야 할 때"라며 민주당 일각에서 제기하는 합당설에는 선을 그었다.
아킬레스건인 자녀 입시비리 문제로 사면 반대 여론이 다른 연령층에 비해 청년층에서 높게 나온데 대해선 "이른바 '조국 사태'에 대해서 저는 '조국 사냥'이라고 얘기를 하는데, 그때 벌어진 일에 대한 평가가 세대별로 차이가 있는 것 같다"면서 "2030 분들이 왜 분노하고 화를 내고 저에 대해 비판적인지 충분히 이해하고 그 점에 대해 죄송하다. 더욱더 낮은 마음과 자세로 정치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