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향후 10년 시·도교육청 교육재정 적자 가능성”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남수경 강원대 교수 분석 결과

남수경 강원대 교수가 향후 전국 시·도교육청의 재정 상황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하면서 경기 변동과 관계없이 안정적인 재정 규모를 유지할 수 잇는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기했다.

남 교수는 지난 8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와 교육부가 공동주최한 '미래교육 대전환을 위한 지방교육재정 전략 포럼'에서 이같은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유·초·중등 교육재정의 수급 전망과 향후 과제’라는 주제로 발제한 남 교수는 "지방교육재정 수급 상황에 대해 분석한 결과 유보통합 비용의 반영 여부에 관계없이 향후 5년 이상 시·도교육청의 재정 상황이 좋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했다.

유보통합, 교원 수 증가, 고교무상교육, 고수요 학생수 증가 등에 2029년까지 지방교육재정교부금(교육교부금)은 수입보다 수요가 클 것이라는 분석이다. 학생 수는 급격히 줄어들지만 교육체제가 변화하는 데다 교원 수가 줄지 않기 때문에 재원부담은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이다.

남 교수는 "2022년 세수 실적에 따라 큰 폭의 교부금 증가가 있었을 때 적립해 둔 안정화 기금 덕분에 2023년 이후 교부금 감소에도 교육 현장의 혼란 없이 교육활동을 지원하고 있다는 점은 간과한 채, 교육계 밖의 시각은 여전히 2022년에 멈춰있는 것 같다"며 "경기 변동에 관계없이 안정적 재정 규모를 유지하기 위한 재정 평탄화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