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원여대 평창캠퍼스 공사가 장기간 중단된 가운데, 주민들이 나서 학교 측으로부터 ‘내년 초 재착공·내년 말 준공’ 약속을 받아냈다. 올해 초부터 진행된 교육부 감사 결과와 무관하게 착공 절차를 밟겠다는 입장이 확인되면서, 30년 방치 사태에 마침표를 찍을지 주목된다.
■주민들, 수원여대 2차 방문 ‘담판’=수원여대 현안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이경진) 위원 30여명과 평창군 관계자 등은 지난 12일 수원여대를 찾아 이난경 총장 등과 면담했다. 이후 혁신처장이 진행한 설명회에서 학교측은 ‘평창캠퍼스 전담 TF’팀을 구성했다는 설명과 함께 내년 1분기 착공 및 연말까지의 준공 목표 일정을 제시했다. 비대위는 주민 성금이 투입된 사업인 만큼 ‘준공’이 최우선이며, 준공 후에는 지역 경제에 도움이 되는 활용 방안이 검토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날 학교와 주민은 ‘학교 측 2~3명+주민 측 2~3명’이 함께하는 공동 TF를 구성해 월 1회 소통을 강화하기로 구두 합의했다.
■재개 조건과 운영 구상은=학교는 공사 재개에 필요한 추가 비용을 45억원으로 추산했다. 교수협의회 등 내부 절차를 거쳐야 하지만, 총장이 재단 이사회와 긴밀히 협의해 무난히 통과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특히 비대위가 재차 확인한 결과, 교육부 감사 결과와 무관하게 재착공을 추진하겠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준공 이후 운영 방식은 정식 ‘캠퍼스’가 아닌 교육관·수련원 활용이 유력하다. 학교측은 교직원·학생 세미나와 수련회, 지역 평생학습 프로그램 등으로 활용하겠다는 계획이다.
■30년 숙원, 어디서 꼬였나=수원여대 평창캠퍼스의 출발은 1997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평창읍 주민 150명이 성금 1억5,000여만원을 모아 약수리 일대 28필지 4만5,000여㎡를 매입해 광희학원에 기부하며 대학 건립을 추진했지만 무산됐다. 이후 2012년 수원여대가 사업권을 인수했고, 4층 연건평 9만2,600㎡ 규모의 캠퍼스가 공정률 90%까지 진행됐으나 자금난 등으로 중단돼 지금까지 방치됐다. 이대로 두어서는 안 된다는 위기감 속에 주민들은 지난해 11월 비대위를 꾸렸다. 이후 지난 2월 7일 1차 면담에서 학교 측으로부터 ‘감사 결과 통보 후 평창 방문·공정 발표’를 약속받았고, 3월 17일 교육부를 방문해 조속한 활성화를 촉구했다. 이어 주민 2,018명의 서명을 모아 지난달 13일 대통령실에 건의문을 접수했다. 그러나 교육부가 ‘연말까지 감사 결과 통보가 어렵다’고 회신하자, 주민들은 이번 2차 방문을 추진해 학교 측의 재착공 의지를 직접 확인했다.
투트랙 대응도 병행됐다. 같은 날 열린 이재명 대통령 타운홀 미팅에 초청된 이경진 위원장 등 주민들은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과 별도 면담을 갖고 관련 자료를 전달했다. 우 수석은 “꼭 잘 챙기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경진 수원여대현안비대위원장은 “일단 방치된 것보다는 건물 착공을 재개하는 것이 큰 성과”라며 “고생한 모든 분께 감사드리고, 수원여대 안착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