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강원도내 배터리 화재 6년간 121건…'열폭주' 현상으로 불안감 확산

정부 전산 시스템 96개 직접 피해 입은 것으로 잠정 파악
국정자원 화재, 정부·강원특별자치도 긴급 대응…전산 시스템 순차 복구
정부 핵심 정보시스템 무용지물…다음주 민원서비스 어려울 전망

◇지난 27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전산실 창문이 화재로 깨져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에서 지난 26일 발생한 화재로 행정 전산망이 마비됐다. 특히 강원특별자치도내에서도 최근 6년간 121건의 배터리 화재가 발생, 불안감은 커지고 있다. 더욱이 정부가 신재생에너지에 주력하면서 ESS(에너지저장장치)의 확산이 예상되고 있어 정부와 자치단체 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배터리 안전성 불안’ 확산=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원인이 배터리 발화로 추정되면서 안전성에 대한 불안이 커지고 있다. 도내에서도 배터리 관련 화재가 잇따랐다. 지난 27일 오후 2시42분께 태백시 문곡동의 한 업체 연축전지 에너지저장장치(ESS)에서 불이 나 건물 60㎡와 배터리팩 187개가 불탔다. 불길이 거세 진화에는 1시간40여분이나 소요됐다. 앞서 지난 4월4일 태백시 황지동의 한 아파트에서도 무선 송풍기 화재가 발생해 거실 10㎡가 소실됐다. 소방당국은 리튬이온 배터리 과충전을 화재 원인으로 분석했다.

문제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화재 발생시 ‘열폭주’(thermal runaway)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진압이 어렵다는데 있다. 내부 화학반응이 끝나야 사실상 진화가 가능한 상황은 배터리에 대한 불안감 확산에 부채질하고 있다.

위성곤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소방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6년간(2020년~2025년 6월) 강원지역에서 발생한 배터리 화재는 121건에 달한다. 위 의원은 “배터리 화재에 특화된 안전 대책과 전문 소방훈련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며 “종합적인 대응 매뉴얼이 갖춰져야 국민의 안전을 지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강원도 긴급대응 돌입=정부와 강원도는 전산망 647개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하자 긴급대응에 나섰다. 행정안전부는 28일 오전 기준 네트워크와 핵심 보안장비 대부분을 재가동했으며, 항온·항습기 복구도 완료했다고 밝혔다. 화재로 직접 피해를 입지 않은 551개 시스템은 이날부터 순차적으로 가동해 정상 서비스 여부를 점검할 계획이다. 다만, 화재가 발생한 전산실의 96개 시스템은 복구에 시간이 더 걸릴 전망이다. 앞서 강원특별자치도도 지난 27일 긴급 대책회의를 열어 우편·금융 등 대민서비스 차질 최소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재명 대통령도 28일 비상대책회의를 열어 “신속한 정부 시스템 복구와 국민 불편 최소화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라”고 지시했다.

■대구센터 가동에 2주 예상=행정안전부 등에 따르면 지난 26일 오후 8시20분께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 5층 전산실에서 불이 났다. 이날 화재로 정부 핵심 정보시스템이 불에 타 무용지물이 돼 다음주에는 정상적인 민원 서비스가 어려울 전망이다. 정부 일각에서는 대구센터에 새롭게 가동되는 데 2주 가량이 걸릴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경찰과 소방당국,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은 합동감식을 통해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 중이다.

◇지난 27일 밤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에서 소방대원들이 불에 탄 리튬이온 배터리를 소화수조로 옮기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