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한지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앞두고 한지 문화 및 산업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원주시와 (사)한지문화재단이 주최한 '2025 한지국제포럼'이 23일 원주한지테마파크에서 ‘문명시대를 연 수제종이 한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로 제2의 르네상스시대를 열자!’를 슬로건으로 열렸다.
포럼은 2009년 유네스코에 등재된 중국의 선지와 2013년 등재된 일본의 미노화지의 사례를 통해 종이문화 보존을 위한 노력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지난해 국가유산청은 '한지 제작의 전통 지식과 기술 및 문화적 실천'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등재 신청했다.
이날 중국과 일본 전문가의 사례 발표와 토론 등이 진행됐다. 특히 강원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 장응열 원주한지장은 전통 한지뜨기 시연을 통해 원주한지의 우수성을 선보였다.
전영철 상지대 교수는 주제발표 '한지의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 등재와 연계한 지속 가능성 및 지역 활성화 전략'을 통해 "한지의 유네스코 등재 추진은 한지산업이 위기를 극복하고 도약의 기회를 모색하는 변곡점이다"며 "해외 성공 모델을 벤치마킹해 한국적 현실에 맞게 복합적으로 적용하는 게 한지산업의 미래를 결정할 핵심과제"라고 강조했다.
김진희 이사장은 "원주는 시민이 주도하는 다양한 문화 실천 활동이 활발하게 펼쳐지는 한지문화도시"라며 "한지문화 저변확대에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