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국무총리는 25일 “이태원 참사 유가족의 절규 앞에 우리는 아직도 자유롭지 못하다”며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총리는 이날 서울시청 광장에서 열린 '10·29 이태원 참사 3주기 시민 추모대회'에 참석해, “이번 참사는 단순한 사고가 아닌, 공적 책임과 안전망의 붕괴로 인해 발생한 비극”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대통령께서도 ‘국가가 존재하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데 있다’며 무거운 책임을 언급하셨다”고 전하며, “국민 생명과 안전은 국가의 존재 이유이자 최우선 가치”라고 덧붙였다.
김 총리는 참사 이후 재난 대응 기준이 정비되고 예방 체계가 보완됐지만, “아직도 풀어야 할 과제가 많다”며 현 상황에 대한 경각심을 나타냈다. 특히 “며칠 전 실시된 정부 합동 감사에서도 사전 대비의 미흡과 대응 체계의 총체적 부실이 참사의 주요 원인임이 재확인됐다”며, “진상 규명은 여전히 부족하고, 징계도 미흡했다”고 비판했다.
그는 “책임에 상응하는 조치를 지속적으로 취해 나가겠다”며, “정부를 대표하는 추모위원장으로서 이 자리에서 다시 약속드린다”고 힘주어 말했다.
또한 희생자 유가족들을 향해 “헤아릴 수 없는 고통 속에서도 내어주신 목소리를 잊지 않겠다”며, 유가족 의견을 반영한 추모시설 건립도 약속했다. 김 총리는 “기억이 모이면 연대가 되고, 추모와 기억은 결국 안전한 나라를 위한 실천으로 이어져야 한다”며, 정부와 시민, 지역사회가 함께 더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어가자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오는 29일 열릴 정부 공식 추모행사 ‘3주기 기억식’을 언급하며, “국민께 간곡히 부탁드린다. 이제는 어떠한 말과 행동으로도 유가족을 아프게 하거나 욕보이는 일이 사라져야 한다”고 당부했다.
추모사를 마친 김 총리는 외국인 희생자 유가족의 손을 잡고 위로를 건넨 뒤 자리로 돌아와 안경을 벗고 눈물을 훔쳤다.
이번 추모대회는 유가족협의회와 행정안전부, 서울시가 공동으로 주최했으며, 참사 이후 정부와 유가족이 공동으로 행사를 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 총리는 정부 대표이자 추모위원장 자격으로 참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