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이 31일 당 소속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의 공식 사과를 계기로 ‘자녀 국회 결혼식’ 논란 수습에 나섰다.
국정감사가 사실상 마무리되고 입법·예산 정국으로 전환되는 시점에서, 당 지도부는 최 위원장의 사과를 통해 여론이 진정되길 기대하는 모습이다.
민주당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이날 최고위원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당 지도부는 이번 논란을 포함해 올해 국감을 되돌아볼 예정이지만, 상임위원장직 사퇴를 전제로 하는 논의는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전날 박 대변인이 "다음 주쯤 최 위원장의 입장을 당 지도부와 공유하고 정리하는 시간이 있을 것"이라고 언급한 발언에 대해서도, "과방위원장직 정리와는 거리가 멀다"고 설명했다.
당 핵심 관계자 역시 “결혼식은 사적인 일로, 당 지도부가 개입할 사안이 아니다”라고 밝히며, 이번 사안에 대해 최 위원장의 사과로 논란을 일단락 짓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민주당은 최 위원장이 국회의 선출직인 만큼 사퇴를 강제할 권한이 없을뿐더러, 당내 지지층 일부에서도 최 위원장을 두둔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일부 의원들은 이번 논란을 야당의 정치적 공세로 이어지게 해서는 안 된다고 우려하고 있다.
최 위원장에 대한 방어선을 제대로 구축하지 못할 경우, 법사위원장인 추미애 의원 등 다른 상임위원장으로 공세가 확대될 수 있다는 것이다.
민주당의 한 원내 관계자는 “최 위원장이 공개 사과했고, 추가 의혹에 대해서도 국감 이후 입장을 밝히겠다고 한 만큼, 이번 사안은 그 정도에서 정리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득구 의원도 자신의 SNS에 “최 위원장이 한두 달 전 식사 자리에서 ‘딸이 정한 대로 따르고 있다’고 언급했다”며, “나 역시 딸에게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일이 없었다. 날짜 조율이나 확인이 부족했던 점은 아쉽지만, 고의적으로 산하기관에 알렸다는 비판은 지나치다”고 옹호했다.
그러나 일부 당내 인사들은 이 사안을 단순히 사과 한마디로 덮고 가기엔 여론의 반발이 거세다고 지적한다. 국감 기간 중 자녀의 국회 결혼식 논란은 물론, MBC 보도본부장 퇴장 지시 논란 등도 여전히 비판의 대상이라는 것이다.
국민의힘이 최 위원장을 경찰에 고발하고 권익위에 신고하는 등 법적·제도적 대응을 본격화한 만큼, 논란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수도권의 한 민주당 의원은 “이번 논란은 쉽게 진화되지 않을 것”이라며 “말로만 하는 사과로는 국민 감정을 달래기 어려울 수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