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석 홍천읍번영회장=“홍천군 영귀미면 삼현리에서 태어나 지금까지 홍천에서 살고 있다. 고향 마을을 보면 마을 소멸 위기가 실감 난다. 어릴 때는 한 가구당 5~6명씩 살았지만, 지금은 독거 노인이 대부분이고 귀농·귀촌인은 2가구 정도다. 1985년에 고등학교를 졸업했는데 당시 400명의 동창생 중 70% 이상은 외지로 떠났다. 일자리 때문이었다. 홍천군의 인구는 앞으로 8만명 정도는 돼야 자영업자들이 먹고 살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과제는 인구 유출을 막는 것이다. 출퇴근 시간대 홍천 IC를 보면 차량 행렬이 어마어마하다. 홍천의 공공기관에 근무하면서 춘천, 원주에 거주하는 생활 인구가 이렇게 많다. 직장은 홍천인데 거주지는 외지인 인구가 왜 발생하는가, 원인을 파악하고 대안을 찾아야 한다. 의료 및 교육 인프라가 중요한 이유이다.”
△김준옥 홍천군 귀농귀촌연합회장=“남면에서 배 과수원을 운영 중인데, 마을에 빈집이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도시로 떠난 자녀들은 빈집을 관리하지도, 활용에 협조하지도 않는다. 그 사이 집은 더 낡고, 마을은 더 썰렁해진다. 단순한 공간 문제가 아니라 공동체 회복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귀농인들을 보면 막상 주민들과 어떻게 관계를 맺어야 하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 정착 지원금 뿐만 아니라 ‘함께 살아가는 방법’도 알려줘야 한다. 도시민이 3~5개월 정도 농촌에서 살아보며 농사를 배우고 주민과 교류하는 체험을 늘려야 한다. 행정은 빈집 관리 시스템을 정비해 예비 귀농인이 임시로 거주할 공간으로 운영해야 한다. 농촌의 미래는 결국 사람에게 달려있다. 행정은 연결을 창출하는 다리 역할을 해야 한다”
△김진환 홍천군청년연합회장=“청년층의 수도권 집중이 심각해지고, 지방은 소멸 위기가 심각해지면서 지자체마다 청년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강원특별자치도가 지난 2023년 청년 범위를 18~39세에서 45세까지 높였고, 도내 기초지자체 18곳 중 15곳이 청년 연령을 40대까지 높였다. 하지만 홍천을 비롯한 3곳은 여전히 30대까지만 청년으로 보고 있다. 조례상 청년 연령을 낮추면, 40대는 일자리, 교육, 복지, 문화 지원 정책에서 제외된다. 가장 중요한 생산인구이면서, 청소년을 키우는 세대이면서도 지원을 못 받는 것이다. 지난해 12월에 ‘47세 이하’로 높이는 조례 개정안이 발의 됐지만 “기반이 더 취약한 20대,30대에 집중해야 한다”는 반론에 막혀 의회 벽을 넘지 못했다. 청년 정책을 강화하려면 조례상 연령기준부터 39세에서 45세로 상향 조정해야 한다.”
△유성선 강원대 철학과 교수(좌장)= “지역의 가장 중요한 과제인 소멸 위기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인구 문제 및 교육 정책 전문가부터 지역 주민들의 목소리까지 골고루 나왔다. 논의의 관점도 조선 시대부터 오늘날 지역의 현장까지 광범위했다. 홍천군의 인구 문제만을 다룬 심포지엄은 근래 들어 처음으로 열렸다는 점에서 뜻 깊은 자리였다. 미래가 불확실할 수록 과거를 성찰하는 관점이 필요하다. 올해 홍천학 심포지엄은 지난 큰 흐름 속에서 통찰력을 얻고, 지혜를 모으는 자리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