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지역 어린이보호구역 내 교통사고가 1년 새 세 배로 급증하면서, 통학로 안전 대책이 지역사회의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강원특별자치도의회는 사고 원인 분석과 현장 실태조사를 강원자치도에 요구하며, 교통 약자 보호 정책 전반의 재점검을 촉구했다.
도의회 안전건설위원회는 지난 7일 도 건설교통국을 대상으로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하고 도내 어린이보호구역 교통사고 증가 문제를 집중 점검했다. 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어린이보호구역에서 발생한 어린이 교통사고는 18건으로 전년(6건) 대비 3배나 늘었다.
하석균(국민의힘·원주) 의원은 “보행로가 없거나 차도와 구분되지 않은 통학로가 여전히 많다”며 “사고 위험 구간에 대한 데이터 관리와 통학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전국적으로 어린이보호구역 사고가 늘고 있는 추세를 언급하며 “원인 파악과 함께 위험지역 개선 대책 마련에 도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령운전자 면허반납에 따른 교통편의 대책 수립 필요성도 언급됐다. 이무철(국민의힘·춘천) 의원은 고령운전자가 면허를 반납한 이후 마주할 교통 불편을 우려하며 ‘농어촌 희망택시’와 ‘교통약자 특별교통수단’ 등과 같은 도심형 이동지원모델 도입을 제안했다.
수도권과의 1시간 생활권을 형성했음에도 홍보가 부족하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김용래(국민의힘·강릉) 의원은 "수도권 주민들이 강원도에 갖는 심리적 거리는 여전히 멀다"며 "인식 개선을 위해 SNS 쇼츠, 한국철도공사와 연계한 효과적인 홍보 방법 등 새로운 홍보 접근법을 면밀히 검토·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