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특별자치도 출신 국가대표급 체육 인재들이 잇따라 외지로 떠나고 있다. 이는 단순한 인재 이동의 문제가 아니라, 강원 체육의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위협하는 중대한 위기다. 올해 전국체육대회에서 강원자치도가 26년 만에 종합 6위라는 성과를 달성한 것은 지역 체육계의 가능성을 입증한 쾌거다. 그러나 이런 성과의 이면에 인재 유출이라는 구조적 문제가 존재한다면 발전은 지속될 수 없다. 강원도의회 도체육회 행정사무감사에서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최근 도내에서 빠져나간 국가대표급 선수는 10명에 달했다.
이 중 8명이 수도권 및 타 지역의 고액 연봉 제안을 받고 이적했다. 또 일부 선수는 도내에 실업팀이 없다는 이유로, 혹은 대학 진학을 위해 강원을 떠났다. 이것은 경쟁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제도와 재정의 부재에서 비롯된 결과다. 연봉 격차와 실업팀 부재는 지역 체육 인재들이 뿌리내릴 수 없는 토양이 되었고, 이는 곧 강원 체육의 성장 가능성을 구조적으로 제약하고 있다.
도의회에서는 다양한 대책이 제시됐다. 기초지자체 차원의 인재 유출 방지를 위한 협의체 구성, 선수·지도자에 대한 적정 수준의 연봉 지급, 생활체육과 엘리트체육 간 균형 있는 예산 분배 등이 언급됐다. 특히 선수 및 가족, 지도자와의 유대 강화가 중요하다는 지적은 주목할 만하다. 실질적인 처우 개선과 정서적 안정은 지역 체육계에 장기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인프라가 되기 때문이다. 도체육회도 이에 응답해 일부 종목에서 최상급 선수를 영입하고, 시·군 조례 개정을 통한 지원 현실화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현재의 대응은 아직 미온적이고 제한적이다. 더욱이 체육계 내 비위 문제에 대한 도체육회의 대처도 도마에 올랐다. 태백시체육회장의 성희롱 사건과 관련해 대한체육회보다도 늦은 대응과 미흡한 징계는 체육회 전반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리는 요인이다. 고위직을 포함한 지도자층에 대한 성희롱·성폭력 예방 교육의 실효성 강화도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
이는 인재를 지키기 위한 환경 조성의 기본 요건이기도 하다. 강원 체육이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해선 인재를 지켜낼 수 있는 제도적인 지원 체계가 우선돼야 한다. 예산 편성에서 선수와 지도자의 처우를 최우선 과제로 두고, 시·군과의 협업을 통한 실업팀 창단, 지역 연고 의식 제고 등이 동시에 추진돼야 함은 물론이다. 특히 생활체육과 엘리트체육 간의 갈등 없는 예산 분배로 체육 생태계 전체가 선순환 구조로 작동해야만 강원 체육의 미래를 기대할 수 있다.
강원자치도는 천혜의 자연환경과 체육 인프라를 갖추고 있는 지역이다. 여기에 인재를 품을 수 있는 재정과 제도, 행정적 지원이 더해질 때 비로소 ‘스포츠 강원’이라는 브랜드가 완성된다. 전국체전 6위라는 성과에 만족할 것이 아니라, 그 이상을 바라보고 체육 인재를 지킬 수 있는 정책과 비전을 지금부터 마련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