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춘천기업혁신파크, 강원자치도 신성장 거점 돼야

환경영향평가 초안 공람 및 주민설명회 개최
앵커 기업 지속 참여 위해 정밀한 점검을
주민설명회, 실질적 의견 반영과 참여가 중요

춘천기업혁신파크 선도사업이 핵심 앵커 기업의 지분 매각 등으로 우려를 자아냈음에도 전략환경영향평가 초안 공람 및 주민설명회 개최를 통해 본격적인 행정 절차에 착수하며 속도를 내고 있다. 이는 춘천을 비롯해 강원자치도의 산업 지형을 획기적으로 바꿀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다. 일상적인 대규모 개발이 아니라, 강원자치도의 미래를 책임질 ‘신성장 거점’으로서의 의미를 되새겨야 할 시점이다. 춘천 남산면 광판리 일원 약 110만 평 부지에 조성될 이 기업혁신파크는 산업단지를 넘어 복합도시로 기능할 예정이다. 정보통신, 바이오, 데이터센터 등 첨단산업은 물론 6,800여 세대 규모의 주거단지, 과학자마을, 문화·의료시설 등이 어우러지는 도시계획이 수립돼 있다. 이는 단순한 기업 유치가 아니라 정주 기반을 갖춘 도시형 산업 생태계 구축이라는 점에서 혁신적인 접근이다. 산업과 사람이 공존하는 지속 가능한 미래도시 모델로, 수도권에 편중된 첨단산업을 분산시키고 도내 균형 발전을 이루는 데 막중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도 긍정적이다. 그러나 이 거대한 프로젝트가 계획대로 실현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중요한 과제를 풀어야 한다.

첫째, 사업의 안정성과 연속성을 확보하는 것이 급선무다. 더존비즈온의 지분 매각으로 일시적으로 불거진 사업 불확실성은 환경영향평가 착수로 다소 해소됐지만, 자본 조달과 파트너십 구조, 앵커 기업의 지속 참여 여부 등 주된 요소들에 대한 정밀한 검증이 필요하다.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PFV)와 자산관리회사(AMC)의 역할이 명확히 작동하고, 외부 변수에 흔들리지 않는 구조적 안정성이 담보돼야 한다.

둘째, 지역사회와의 소통 및 수용성이 중요하다. 이미 행정절차의 일환으로 주민 의견 수렴에 들어갔지만, 단순 설명회를 넘어 충분한 의견 반영 및 참여 구조가 마련돼야 한다. 대규모 개발은 필연적으로 환경, 교통, 생활권 변화 등을 동반하며 주민들과의 이해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조정할 거버넌스 체계가 요구된다. 셋째, 강원자치도와 춘천시의 적극적이고 유연한 행정 지원도 뒤따라야 한다. 단순 허가권자 역할을 넘어, 투자 유치, 인프라 확충, 규제 완화 등 기업 활동 전반에 걸친 동반자가 돼야 한다. 특히 기업 유치 경쟁이 전국적으로 치열한 가운데 특화된 인센티브 제도와 사업 전용 지원 조직 신설 등 과감한 행정 혁신이 절실하다.

넷째, 산업 생태계와 인재 인프라를 동반 육성해야 한다. 첨단산업은 단순히 기업 건물만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R&D 인프라, 전문인력 확보, 산학연 협력 체계 등 유기적 산업 생태계가 전제돼야 실재적인 성과가 나온다. 도내 대학과 연구기관, 혁신기관과 연계한 인재 양성 및 창업 지원 체계 구축이 병행돼야 한다. 과학자마을은 이러한 맥락에서 자칫 보여주기식 공간이 되지 않도록 실질적인 콘텐츠와 기능이 채워져야 한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