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KBO리그 시즌 종료와 함께 문을 연 스토브리그가 초반부터 굵직한 이적과 재계약 발표로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25일 기준 가장 먼저 눈에 띈 움직임은 한화의 ‘100억 베팅’이다. 한화는 FA 강백호를 4년 최대 100억원에 품으며 다시 한 번 대형 계약을 단행했다. 이를 통해 문현빈-강백호-노시환-채은성으로 이어지는 탄탄한 중심 타선을 갖게 됐다. 다만 강백호의 수비 포지션은 여전히 논쟁거리로 남아 있다.
두산 역시 초반 시장의 중심에 섰다. KIA에서 나온 FA 유격수 박찬호를 4년 최대 80억원에 영입해 빈약했던 내야를 메웠다. 이번 영입으로 인해 지난 시즌 뜨거운 활약을 보였던 안재석의 포지션은 3루로 변경될 것으로 보인다. 또 외야수 조수행과도 4년 16억원에 재계약했다.
KT는 박찬호·강백호·박해민 등 최대어들을 모두 놓친 뒤 재빠르게 보강에 나섰다. 포수 한승택을 4년 10억원에 데려왔고, LG와 결별한 한국시리즈 MVP 김현수를 3년 50억원(전액 보장)에 영입하며 타선과 경험을 동시에 확보했다. 아쉬웠던 좌타 자원을 ‘베테랑 조각’으로 메우는 전략이 분명하다.
디펜딩 챔피언 LG는 외부 영입보다 수성에 초점을 맞췄다. 이들은 주장 박해민과 4년 65억원에 재계약하면서 수비의 안정성을 유지했다. 김현수의 이탈이 있었지만 박해민을 중심으로 퓨처스 리그를 폭격한 이재원 등을 적극 활용해 외야를 구축하겠다는 방침이다.
삼성도 눈에 띈다. 이들은 NC 포수 박세혁을 트레이드로 영입하며 안방 보강에 성공한 데 이어 뛰어난 활약을 보였던 외국인 디아즈·후라도와 모두 재계약을 마무리했다.
박찬호를 내준 KIA는 최대 고민거리를 떠안게 됐다. 주전 유격수 공백을 어떤 방식으로 메울지가 핵심인데, 내부 대안으로 거론되는 김도영의 경우 최근 잦아진 부상 이력 때문에 정상적인 유격수 수비를 소화하기 어렵다는 우려가 제기되기 때문이다. 외부 영입과 트레이드 가능성이 모두 열려 있는 가운데 중심 타자 최형우의 재계약 여부 역시 결론을 기다리고 있다.
롯데와 SSG는 외부 영입 없이 비교적 조용한 겨울을 보내고 있다. 롯데는 내부 재편에 집중하고 있으며 SSG 역시 주축 전력을 유지한 채 외국인 선수 구성을 검토하는 단계다. NC는 라일리·데이비슨과 재계약을 추진하고 FA로 나온 최원준과 협상 여부를 논의 중이다. 키움은 예년과 마찬가지로 외부 FA 영입보다는 내부 육성과 유망주 중심 재편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전력 강화보다는 장기 로드맵 유지에 무게가 실린다. 송성문의 미국 진출 여부는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아직 스토브리그의 문은 완전히 닫히지 않았다. 핵심 FA들의 거취는 대부분 정리됐지만 보상선수 발표와 외국인 선수 최종 구성, 트레이드 시장의 추가 움직임 등 남은 변수가 적지 않다. 각 구단의 전략이 본격적으로 드러나는 12월 이후엔 또 한 차례 판도가 요동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뜨거운 겨울 전쟁 속에서 누가 마지막 퍼즐을 가장 완벽하게 채울지 야구팬들의 시선이 모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