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

[춘천]“상권 무너져 손해 큰데 보상마저 무산”

약사천 복원 예산 삭감 논란

재정비 고시 후 4년째 지연

3단계 사업 추진 기대 수포

상인들 “예산 재편성” 촉구

수해 주민들은 조건부 반대

춘천시 효자동 건물에 세 들어 전기상점을 운영하는 김모(50)씨는 21일 “3년째 손해를 보면서 영업보상이라도 받으려 이제나저제나 기다렸는데, 이럴 수가 있느냐”고 울분을 토했다.

그는 2009년 약사 재정비가 고시된 뒤 어차피 이주해야 하는 만큼, 이듬해 석사동에 자기 건물을 사고 이사갈 채비를 했다.

하지만 금방 이뤄질 것 같던 재정비사업이 약사리고개 주변으로 집중되면서 별당막국수~춘천우체국 간 복원 및 인근 6차선 확장 공사는 후순위로 밀렸다. 매월 100여만원의 월세를 물면서 하루빨리 보상이 되기만을 기다려온 김씨는 “지난 7월 수해 뒤 시가 일정을 앞당겨 약사천 복원 3단계사업(약사천 수변공원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히면서 4년간의 주민 민원이 해결되나 했는데, 생각지도 않게 의회의 반대로 무산됐다”고 말했다.

인근 다른 상점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장사가 안 돼 빚만 쌓이면서 월세가 밀려 보증금을 깎아먹고, 그나마 영업보상이라고 받으려 기대했지만 허사가 됐다. 임종학 효자 운교 상가번영회장은 “상권이 죽은지 오래고, 각 세입자마다 수천만~수억원의 빚을 지고 있다”며 “건물주도 2, 3층은 텅텅 비어 있는 등 손해가 크다”고 말했다. 이어 “수해 예방을 생각한다면, 이 일대를 보상해 주고 하천복원 및 공원으로 조성하는 것밖에 답이 없다”고 덧붙였다.

이날 효자 운교 상가번영회는 시의회를 항의방문하고, 기자회견을 통해 “과연 누구를 위한 의회인가”라고 반문한 뒤 “관련 예산이 다시 편성될 수 있도록 의회와 지자체가 도와달라”고 촉구했다.

반면 운교동 효자동 인재피해주민비상대책위원회는 “수해 보상없는 사업 추진을 반대한다”고 밝혀 주민들 간 갈등 양상도 나타나고 있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