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지뢰·포격 도발을 계기로 여야가 또다시 치열한 공방을 이어나갈 전망이다. 국가 안보와 대북 정책 등 기본적인 정치성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사안인 만큼 내년 4·13 총선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당장 여야는 이달 말 열리는 국회에서의 충돌을 예고했다.
새누리당 조원진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번 정기국회는 4대 개혁에 더해 안보 문제가 집중적으로 부각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새누리당은 북한이 지뢰 매설로 먼저 도발하고도 이에 대응하는 차원의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에 수차례 포격으로 재차 도발한 것은 결코 좌시할 수 없다는 입장이 확고하다.
북한의 도발에 계속 끌려 다닐 게 아니라 강경 대응으로 맞서야 한다는 데 전통적 지지층은 물론 상당수의 중도층도 공감하고 있다는 판단을 내부적으로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이번 도발을 계기로 정기국회에서 강경 일변도인 대북정책의 전환을 강조할 예정이다. 특히 남북이 해결의 실마리를 문재인 대표가 제안했던 대로 남북 고위급 접촉에서 찾아냈다는 점을 강조하며 대화 중심 대북정책의 필요성을 집중적으로 부각한다는 전략이다. 박수현 원내대변인 “남북관계 경색을 가져 온 과제들을 대화로 풀어내는 계기를 정기국회에서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내년도 예산 심사에도 대북·안보 문제는 적지 않은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여야는 이 같은 쟁점이 내년 4·13 총선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아직 선거까지 230여일 정도가 남아있는 상태지만 남북의 협상 결과에 따라 각각 보수와 진보층이 결집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이번 사태는 정국에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고, 장기화될 경우 내년 총선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봐야 할 것”이라고 했다.
원선영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