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

[춘천]온실가스 배출권 1만톤 판매·최초 에너지화폐 도입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지속가능 춘천 캠페인

춘천시 5억 투입 정수장·가압장 전동기 등 교체

전기요금 절감 효과 기대…수소차도 전량 소진

[춘천]지속 가능한 도시 구현을 위한 춘천시의 다양한 정책이 주목받고 있다.

춘천시는 민선 7기 출범 이후 기후변화에 대비해 지구의 생명성을 존중하고 삶의 패턴을 바꾸기 위한 정책을 실행중이다.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경고하는 차원을 넘어 자연환경을 회복 가능한 상태로 되돌리기 위한 정책을 적극 실천하고 있다.

시는 신재생에너지 분담률을 2022년까지 전체 전력의 10%, 2030년에는 20%까지 확대하기 위한 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올해는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를 통해 수익을 창출했다. 한국거래소 배출권거래시장에서 온실가스 배출권 1만톤(CO2)을 판매했다.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 가격은 1톤당 2만원으로 거래를 통해 2억원가량의 세외수입을 확보했다. 시는 온실가스 감축 노력으로 발생된 잉여배출권 중 이월 불가능한 배출권 판매로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등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에 대한 효율적 대응 기반을 마련했다.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 개선과 지속 가능한 에너지 자립도시 조성 및 에너지 이용체계 선순환 유도를 위해 전국 최초로 내년 1월부터 에너지 화폐도 도입한다. 지역 에너지화폐는 소양에너지페이로 자가소비형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를 설치·이용해 온실가스 감축과 에너지 절약 정책에 기여한 시민들에게 제공하는 인센티브다.

수도시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노력도 계속되고 있다. 시는 수도시설의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해 5억원을 들여 소양정수장·칠전가압장·봉의가압장의 전동기와 펌프를 교체했다. 내구연한이 경과된 전동기와 펌프를 교체해 안정적인 수돗물 공급은 물론 전기요금을 절감하기 위한 사업이다.

특히 지속 가능한 도시 구현에 시민 동참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시에 따르면 올해 수소전기차 민간 보급량인 346대는 올 9월 모두 소진됐다. 지난해 보급량 104대에 비해 242대를 늘렸지만 신청이 모두 완료됐다.

하위윤기자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