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의회

도의회 업무보고 도마 오른 레고랜드 테마파크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道 수익률 축소 문제 비롯
과도한 주차장 비용 지적

강원도의회가 최문순 전 도정에서 추진한 ‘춘천 레고랜드 테마파크'' 사업에 대해 끝없는 의구심을 드러냈다. 협약서 비공개를 시작으로 임대수익 비율 축소, 과도한 주차비용 개선 여부까지 열띤 질의를 이어 갔다.

도의회 경제통상위원회(위원장:김기철)는 7일 도 글로벌투자통상국의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강원도가 가져갈 수익률이 축소된 점에 대한 지적이 나왔다.

김기홍(국민의힘·원주) 의원은 “2013년 레고랜드 컨소시엄(MCA) 및 본협약(UA) 체결과 2018년 총괄개발협약(MDA)의 차이를 면밀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며 “이 과정에서 수익률이 30.8%에서 3%대로 축소됐다”며 비공개 사업 추진 방식에 대해 지적했다. 레고랜드 테마파크 조성비 2,600억원 가운데 800억원을 분담하는 도(강원중도개발공사)가 수익성마저 담보하지 못하고 있다는 발언이다. 이어 김 의원이 올해 레고랜드 매출액을 묻자 윤인재 글로벌투자통상국장은 “올 5월5일 개장 이후 두 달밖에 안 돼 현실적으로 예측이 어렵다”고 답했다. 당초 연계된 계약서를 살펴보면 연 매출 1,000억원(200만명)이 발생할 때 3%를 받게 되고 수익 대비 1억8,000만원이라는 게 도의 설명이다.

과도한 주차장 비용 개선의 필요성도 나왔다. 박윤미(더민주·원주) 의원은 “관람하고 놀이기구를 체험하는데 최소 4시간 이상 머문다고 감안하면 그 이후부터 요금을 지불하는 것이 합리적이지 않냐”며 “언론에서도 요금 과다를 꼬집고 있어 관광객 의견을 수렴해 수정하는 방안을 검토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지역인재 추가 채용과 재방문 유인책에 대한 대책 마련도 촉구했다.

한편 이날 도의회 사회문화위원회(위원장:정재웅)에서 진행한 ‘강원도 발달장애인 권리 보장 및 지원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은 수정 가결됐다. 오는 15일 본회의에서 최종적으로 심의될 예정이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