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설악과 자작나무숲으로 유명한 인제군의 면적은 1,646.1㎢로 광활하다. 우리나라 226개 자치단체 가운데 인접한 홍천군(1820.5㎢)에 이어 두 번째로 넓은 면적을 자랑한다. 자치단체 중에서 면적이 가장 좁은 부산광역시 중구는 약 3㎢다. 약 548배 차이가 난다. 면적은 넓지만 임야가 90%에 이르러 척박한 환경이다. 인구 밀도가 약 19명에 불과한 것이 이를 나타낸다. ▼자치단체마다 너도나도 인구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다. 자치단체는 인구수를 기본으로 정부로부터 교부세 지원을 받는다. 사람이 모이는 곳에 돈이 몰린다는 말과 일맥상통한다. 인제군의 주민등록상 거주인구는 약 3만2,000명이다. 인제는 지리적으로 행정의 중심지인 인제읍과 원통으로 대표되는 북면이 사실상 지역의 인구를 양분하고 있다. 인제군은 30여 년 전부터 도심 통합을 꿈꿔 왔다. 인제읍과 원통을 하나의 도심으로 묶는다는 구상이다. ▼기본적으로 사람들을 지역으로 불러 모으기 위해서는 터전을 만들어야 한다. 터전의 사전적 의미는 ‘집터가 되는 땅’, ‘자리를 잡은 곳’이다. 그러던 인제군에 지난달 초 반가운 소식이 들려 왔다. 인제군 30년 숙원사업인 ‘덕산 주거형지구단위계획’이 확정된 것이다. 덕산 주거형지구단위계획은 인제읍과 원통 중간 지점인 인제읍 덕산리 일대 보존지역으로 묶여 있던 20만9,525㎡를 개발이 가능한 계획관리지역으로 풀었다는 의미다. 두 도심을 통합할 터전의 발판이 마련된 셈이다. 이에 따른 효과로 계획인구 3,700여명이 유입될 것으로 군에서는 보고 있다. ▼인제군은 2027년 개통되는 동서고속화철도 역세권 개발사업과 함께 주민 생활권 확대 등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군장병 부사관 및 그 가족 등 주민등록 미포함 인구까지 감안하면 약 7만명의 군민이 생활하는 것으로 보고 민선 7기부터 대비를 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풍선 효과를 우려하기도 한다. 끈질긴 노력 끝에 도심 통합의 주춧돌을 놓은 인제군의 지도가 혁신적으로 바뀔지 지켜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