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13일부터 14일 오전 사이 수도권과 강원내륙·산지에 시간당 30~80㎜ 의 폭우가 쏟아질 것으로 예상돼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서쪽에서 정체전선이 들어오면서 13일 오전 11시 현재 강원동해안과 전남·제주를 뺀 대부분 지역에 비가 내리고 있다.
경기 오산시에 호우경보 등 수도권·충청·전북북부·경북북서내륙에 호우특보가 내려졌고 곳곳에 시간당 30~40㎜씩 비가 쏟아지고 있다.
14일부터 15일까지는 정체전선과 그에 동반된 저기압이 분리되면서 전선이 남하하겠다. 이런 가운데 저기압 뒤편에서 내려오는 차고 건조한 공기와 세력을 확장한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부는 고온다습한 공기가 충돌하면서 정체전선이 활성화되겠다. 성질이 다른 두 공기가 강하게 부딪치면서 '동서로 길이는 길고 남북으로 폭이 좁은' 비구름대가 형성되겠다.
길고 폭 좁은 비구름대는 좁은 구역에 폭우를 내릴 수 있다.
기상청은 이날 오전 11시 예보와 브리핑에서 앞으로 15일까지 충남과 전북에 비가 많이 내리는 곳은 강수량이 400㎜ 이상, 경기남부·강원남부내륙·강원산지·충북·경북북부내륙에는 최대 300㎜ 이상, 전남에는 최대 200㎜ 이상일 것으로 내다봤다.

또 중부지방(강원동해안 제외)과 전북, 경북북부내륙의 전반적인 강수량은 100~250㎜로 예상됐다. 강원동해안과 전남, 영남(북부내륙 제외) 강수량은 50~150㎜에 이르겠다.
예상되는 비의 전체 양이 많을 뿐 아니라 '시간당 강수량', 즉 강수의 강도도 매우 강하겠다.
수도권과 강원내륙·산지에는 현재부터 14일 오전 사이 시간당 30~80㎜, 경기남부와 강원남부내륙·산지는 14일 밤부터 15일 오전까지 중 다시 한번 강한 집중호우가 내릴 때가 있겠다.
기상청은 "정체전선이 남북으로 진동하면서 전국에 영향을 주겠다"라면서 "수도권과 강원내륙·산지 외 지역에도 15일까지 언제든 강한 비가 쏟아질 수 있으니 대비해달라"라고 당부했다.
정체전선은 20일까지 우리나라에 비를 내릴 것으로 전망된다.
중기예보를 보면 16~17일엔 전국, 18일엔 중부지방, 19일엔 충청과 남부지방, 20일엔 전남·경남·제주에 비가 예보됐다.
기상청은 "정체전선이 남북으로 진동하면서 전국에 영향을 주겠다"라면서 "수도권과 강원내륙·산지 외 지역에도 15일까지 언제든 강한 비가 쏟아질 수 있으니 최신 기상정보를 참고해 비 피해가 없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장마가 시작한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12일까지 전국 평균 누적 강수량은 316.8㎜에 달한다. 가장 비가 많이 내리는 달인 7월 평년(1991~2020년 평균) 강수량이 288.5㎜인데 최근 18일 사이 이를 훌쩍 넘는 비가 쏟아진 것이다.
자동기상관측장비(AWS) 기록을 보면 제주 한라산 삼각봉은 지난달 25일부터 이날 오전 11시까지 누적 강수량이 1천43.5㎜에 달한다.
광주에는 같은 기간 638.7㎜, 전북 남원시(산내면 뱀사골)에는 630.5㎜, 경북 영주시(이산면)에는 610.5㎜, 전남 구례군(성삼재)에는 579.5㎜ 비가 왔다.
서울의 경우 동대문구에서 341.5㎜, '극한호우'가 내리기도 했던 동작구(신대방동)에서 336.0㎜ 누적 강수량이 기록됐다.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도 발생했다.
이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가 오전 11시 기준으로 발표한 호우 대처상황 보고에 따르면 이날 오전 5시 43분께 전북 진안군 지방도 795호선에서 도로 비탈면 유실 피해가 발생했다.
지자체가 오전 10시 10분께까지 응급복구를 해 현재 통행이 재개됐으며,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또 이날 0시 19분께 전남 화순군 이양면 복리 산간 도로 위에 경사면 토사가 쏟아져 내렸다.
이 사고로 1t 트럭을 몰고 도로를 지나던 50대 남성이 도로에 쌓인 토사에 부딪히면서 팔목을 다쳐 병원으로 이송됐다.
토사는 왕복 2차선인 도로를 막아 재난 당국이 양방향 통행을 통제하고 응급 복구 중이다.
강원 정선에서는 지난 10일 군도 3호선의 도로 비탈면 1곳이 유실돼 피암터널 주변에서 양방향 통제 중이다. 비탈면이 안정되면 안전진단을 실시할 예정이다.

지난 11일 오후 부산 사상구 학장천 주변에서 실종된 68세 여성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앞서 같은 날 오전 경기 여주에서는 75세 남성이 사망했는데 이 남성은 소양천 주변을 산책하다 실족한 것으로 추정된다. 중대본은 호우 인명피해가 아닌 안전사고로 집계했다.
이밖에 추가 시설 피해는 없는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 부산, 광주, 경북 등 5개 시도 13개 시군구에서 37가구 59명이 일시대피했고, 현재 미귀가 인원은 18가구 34명으로, 직전 집계(오전 6시 기준)보다 줄었다.
도로는 경기 8곳 등 총 20곳, 하천변은 서울 27곳 등 총 174곳이 통제 중이다. 8개 국립공원 126개 탐방로가 통제됐다.
중대본은 비상 2단계 대응과 함께 위기경보 '경계' 단계를 유지하고 있다.
중대본부장(한창섭 행안부 차관)은 신속 대응을 위해 호우 대비 비상대응체계 유지를 요청했다.
소방청도 이날 오전 11시를 기해 중앙긴급구조통제단을 가동했다.
중앙긴급구조통제단장(남화영 소방청장)은 기상특보 발표 전이라도 지역별 강수 상황을 고려해 인명피해 우려 지역의 예방 순찰을 강화하라고 지시했다.
또 신고 폭주에 대비해 119 종합상황실 신고접수대를 확대 운영하고, 동시다발적 출동이 발생하면 행정차량을 활용해 가용소방력을 최대한 동원하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