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강원지역 초등 교사 신규 선발 인원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에 이어 신규 임용 규모가 100명 아래로 떨어지면서 당장 농어촌 교육과 학급 편성 기준 수립 등이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이 예고한 2024학년도 강원특별자치도 공립 유·초·특수학교(유·초), 중등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 경쟁시험에 따르면 도내 공립 유·초·특수학교 교사는 총 123명으로 유치원 29명, 초등학교 75명, 특수학교 19명을 선발한다. 초등 교사의 경우 2023학년도 선발 인원인 93명보다 18명 감소했다. 3년 연속 역대 최저치다. 도내 공립 중등학교 교사 선발 예정 인원은 총 30개 과목 228명이다. 지난해 6년 만에 최저점을 찍었던 2023학년도 선발 인원이었던 252명보다 적다.
초·중등 교육 현장의 교사 수급뿐만 아니라 타 시·도 전출을 희망하는 교원 역시 매년 400명에 달한다는 점은 심각한 문제다. 실제 올 3월 강원지역을 떠나고 싶다는 교원은 유치원 18명, 초등 66명, 중등 308명 등 총 392명이었다. 2021년 400명, 지난해 388명 등 최근 3년 동안 꾸준히 400명 안팎을 나타내고 있다. 반면 타 지역에서 강원도로 오겠다는 인원은 훨씬 적다. 올 3월1일 자 타 시·도 전출 교원은 중등 22명, 초등 14명, 유치원 2명에 불과하다. 도내 공교육 황폐화를 막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정착률을 높일 수 있는 획기적인 방안을 하루빨리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이유다. 수없이 많은 대책이 논의됐지만 교원들의 이탈 러시를 막는 데에는 역부족이었다.
학생 수를 기준으로 교원수급정책을 수립하면 인구가 적은 강원교육은 갈수록 황폐화될 수밖에 없다. 교육 환경이 열악해지면 지역 주민들이 마을을 등지고 자연히 인구가 줄면 지역은 사라질 수밖에 없다. 교원 임용 감소가 가져오는 악순환이다. 강원교육이 제대로 이뤄지기 위해서는 충분한 교원 확보가 선결과제다. 교육계에선 교사들의 대도시 선호를 자연스러운 현실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보고 있다는 점도 문제다. 도서벽지 근무수당을 인상해도 해소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이를 당연시한다면 해결책은 나올 수 없을 것이다. 교사 임용정책의 실패는 퇴직 교사까지 기간제 교사로 근무하는 비정상적인 구조를 낳고 있다. 도농 간 교사 임용 양극화와 교사 구인난은 도농지역 교육 수준 격차가 시간이 지날수록 심화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교사의 증원과 교육 환경 개선이 강원교육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