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민주 새 원내대표에 '범친명' 홍익표…"이재명 영장 결과 따라 비상한 각오로 싸울 준비"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巨野 원내사령탑 올라…"이재명과 함께 총선승리"

◇더불어민주당 홍익표 신임 원내대표가 26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표 보궐선거 의원총회에서 당선 인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새 원내대표에 '범친명'계로 분류되는 3선 홍익표 의원 (서울 중구성동구갑)이 선출됐다.

홍 신임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민주당의 새 원내 사령탑으로 뽑혔다.

그는 1차 투표에서 김민석(3선·서울 영등포구을) 의원이 탈락한 가운데 남인순(3선·서울 송파구병) 의원과 결선투표에서 맞붙은 결과 최다 득표에 성공했다. 후보별 득표수는 공개되지 않았다.

홍 신임 원내대표는 올해 4월 원내대표 선거에서 박광온 의원에게 밀려 쓴맛을 봤지만, 이재명 대표 체포동의안 가결 사태 책임을 지고 박 전 원내대표가 사퇴하면서 치러진 보궐선거에서 원내사령탑에 오르게 됐다.

그는 수락 연설에서 "어려울 때 힘든 자리를 맡았다"며 "민주당이 하나의 팀이 돼서 이재명 대표와 함께 내년 총선에서 승리할 수 있는 그런 힘을, 동력을 만들어내겠다"고 말했다.

이어 "누구보다 희생하는 자리에는 제가 제일 먼저, 그리고 여러분들에게 그 결과가 값진 결과가 내년 총선에서 있을 수 있도록 제가 항상 여러분과 함께하겠다"며 "결정 과정에서는 원칙과 기준을 갖고 민주성과 다양성의 바탕에서 결정하고 과정은 투명하고 공정하게 그리고 유능하게 관리해 내겠다"고 다짐했다.

홍 신임 원내대표는 의총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 대표의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과 관련해 "당연히 기각될 거라 확신하나 결과에 따라 당은 상당히 비상한 각오로 싸워나갈 준비도 하겠다"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홍익표 신임 원내대표가 26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표 보궐선거 의원총회에서 당선 인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또 "만약에 내일 기각돼 뵙는다면 앞으로 당 운영과 관련해 대표님께 포괄적으로 협의하고 이 대표를 중심으로 내년 선거를 차질 없이 준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당내 계파 갈등 상황에 대해서 "일부 당원, 지지층에서 문제 제기한 것에 대해 잘 알고 그런 부분을 책임 있게 해결하겠다"며 "당 대표의 지침을 받아서 당이 통합될 수 있게 잘 준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대표 체포동의안 가결파에 대한 징계가 거론되면서 반발이 이는 것에 대해선 "민주성, 다양성이 보장돼야 하나 그에 따라 정치적 책임을 져야 할 때도 있다"며 "빠른 시일 내에 입장을 정하겠다"고 밝혔다.

개혁적인 정책통으로 평가받는 홍 신임 원내대표는 지난 대선 후보 경선 때 이낙연 전 대표를 지원했던 만큼 상대적으로 계파색이 옅은 인사로 꼽혀왔다.

이번 원내대표 경선에 출마하면서는 "당 대표를 중심으로 흔들림 없는 단결된 힘으로 오늘의 어려움을 극복해 나가겠다"고 선언하는 등 친명(친이재명) 색채를 분명히 했다.

이번 원내대표 경선은 박 전 원내대표가 지난 21일 이 대표 체포동의안 가결 사태의 책임을 지고 사퇴하면서 보궐선거로 치러졌다.

홍 신임 원내대표의 임기는 박 전 원내대표의 잔여 임기인 내년 4월까지로 총선까지 원내 상황을 책임져야 한다.

이 대표가 이날 법원의 구속 전 피의자 심문을 받는 당 상황을 고려해 이날 경선은 정견 발표 등이 과정은 비공개로 진행되고 당선자 꽃다발 증정이 생략되는 등 간소하게 치러졌다.

◇[사진=연합뉴스]

홍 신임 원내대표는 국회 상임위원회 간사나 위원장으로서 여야 이견을 원만하게 조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문재인 정부 시절 당의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 원장을 맡아 '정책통'으로도 불린다. 정책위의장도 역임, 코로나19 소상공인 지원액 상향 등 민생 정책을 추진하기도 했다.

지난해에는 자신의 지역구를 떠나 서울 서초을 지역위원장을 자청했다.

중진 의원으로서 험지에 뛰어드는 솔선수범을 보였다. 대선·지방선거 등 굵직한 전국 단위 선거에서 잇달아 패한 민주당을 혁신해보자는 취지였다.

홍 원내대표는 체포동의안 '가결파'와 '부결파'로 쪼개지며 극심해진 계파 간 내홍을 원만하게 수습해야 하는 난제를 떠안게 됐다.

△ 서울(56) △ 한양대 정치외교학과·정치학 박사 △ 19·20·21대 의원 △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수석대변인 △ 민주당 정책위의장·민주연구원장 △ 국회 산자위·행안위 간사 △ 국회 언론·미디어제도개선특위 위원장 △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 민주당 서초을 지역위원장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라이프

이코노미 플러스